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경부대운하 일대 땅, 벌써 외지인 '싹쓸이'

충주 외지인 보유비율 53% 등 투기바람 거세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측이 강행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는 경부대운하가 통과하게 될 주요 지역의 땅을 최근 서울 등 외지인들이 대거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경향신문>에 따르면, 한국주택공사 조사결과 이 당선자가 한반도 대운하 사업 중 1단계로 추진하겠다고 밝힌 경부대운하가 통과하는 주요 지역의 외지인 토지매입 비율은 전국 평균(31.5%)을 웃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낙동갑문에서 출발하는 경부대운하가 조령산맥을 넘어 남한강 줄기와 만나게 되는 충북 충주시의 경우 올해 10월에 거래된 1674필지의 토지 가운데 절반가량인 814필지(48.6%)가 충북지역 주민이 아닌 외지인들이 매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외지인이 사들인 충주시 토지의 41.2%는 서울에 주소지를 둔 사람들이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10월 기준 충주시 토지의 외지인 매입비율은 2002년 25.2%, 2003년 39.0%, 2004년 36.3%, 2005년 20.6%에 그쳤다. 그러나 이당선자가 지난해 7월 서울시장에서 물러난 뒤 한반도 대운하 공약을 본격적으로 거론하면서 충주시 토지의 외지인 매입비율은 지난해 8월 41%에서 9월 42.6%로 높아진 데 이어 10월에는 53.0%로 급등했다.

경부대운하가 통과하는 경북 상주시도 올해 10월에 거래된 토지 768필지 가운데 336필지(43.8%)를 외지인이 사들였고, 문경시에서 거래된 470필지의 토지 중 232필지(49.4%)도 외지인의 소유로 넘어갔다. 이는 경북 전체의 외지인 토지 매입비율(39.2%)을 웃도는 수준이다.

경기지역은 경부대운하가 건설될 경우 수혜지역으로 거론되는 여주시의 외지인 토지 매입비율이 36.7%에 이르렀고, 양평군(51.3%), 파주시(33.7%) 등의 외지인 토지 매입비율이 경기지역 평균(32%)을 넘어섰다. 경부대운하가 지나가는 경남 밀양시의 외지인 토지 매입비율은 36.1%로 경남의 평균치(26.7%)보다 10%포인트가량 높았다. 경부대운하가 건설될 경우 막대한 토지보상비와 부동산 개발이익이 지역주민들보다는 외지의 투기세력에 돌아갈 가능성이 그만큼 커진 셈이다.
최병성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