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브라질에 50% 보복관세. 내정간섭까지...
'브라질의 트럼프' 수사 비판. 브릭스의 관세정책 비판에도 발끈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필리핀에 대해 20%, 브루나이·몰도바에 각각 25%, 알제리·이라크·리비아·스리랑카에 각각 30%, 브라질에 50%의 상호관세율을 적시한 총 8건의 서한을 트루스소셜에 올렸다. 1차로 한국과 일본 및 신흥국 12개에 관세율을 통보한 데 이어 2차도 역시 만만한 개도국들에 관세율을 일방통보한 모양새다.
지난 4월2일 발표한 상호관세율과 비교하면 필리핀은 17%에서 3%포인트 올라갔고 브루나이는 24%에서 1%포인트 상승했다.
알제리는 변화가 없었고, 스리랑카는 14% 포인트(44%→30%), 이라크는 9% 포인트(39→30%), 리비아는 1% 포인트(31%→30%), 몰도바는 6% 포인트(31%→25%)씩 각각 하향 조정됐다.
그러나 지난 4월 10%의 기본관세만 적용했던 브라질에 대해선 무려 40% 포인트 인상한 50%의 상호관세율을 부과했다. 브라질이 트럼프 관세정책을 강도높게 비판한 브릭스 의장국이라는 점에서 감정적 보복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에게 보내는 서한에서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이 재판에 계류 중인 상황을 "국제적인 불명예"라면서 "이 재판은 열려서는 안 된다. 마녀사냥은 즉시 끝나야 한다"며 내정간섭 발언을 했다. '브라질의 트럼프'라 불리는 극우 보우소나루 엄호에 노골적으로 나선 것.
트럼프 대통령은 더 나아가 "미국 기업들의 디지털 교역 활동에 대한 브라질의 계속된 공격과 다른 불공정 무역 관행" 등을 거론하며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에게 무역법 제301조에 입각해 브라질에 대한 조사를 즉시 시작할 것을 명령한다며 추가 보복조치를 예고하기도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