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 5호기 부실공사 확인", 한수원 거짓말 들통
헤드 관통관 부실 추가 확인. 최악의 경우 핵분열 통제 불능
원자력안전위원회 한빛원전 지역사무소는 19일 오전 전남 영광 방사능 방재센터에서 '한빛원전안전협의회'를 열고 "지난 4월부터 지난달 6일까지 진행된 한빛 5호기 계획예방정비 중 원자로 헤드 관통관 2개(39번·67번)를 규격에 맞지 않은 재질로 용접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한빛 5호기의 원자로 헤드 관통관 84개를 보수·용접하는 과정에서 '인코넬 690' 재질로 용접해야 하는 부위에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했다는 것.
이로써 기존 한수원이 밝힌 1개(69번) 외에도 추가로 2개가 발견돼 부실하게 공사된 관통관은 현재까지 3개로 늘었다. 추가 조사가 진행 중인 데다 촬영도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가 상당수여서 '부실 공사'된 관통관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관통관은 핵분열을 제어하는 제어봉의 삽입통로로, 관통관에 이상이 발생하면 제어봉 삽입이 제대로 되지 않아 핵분열을 통제하지 못하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앞서 한수원은 지난 8월 관통관 69번 연결부위에서 냉각수가 흘러나오자 잘못 시공된 부위를 다시 인코넬 690 재질로 재용접하고 나머지 관통관을 전수 조사한 결과, "나머지 관통관에는 문제가 없다"며 안전성 검사를 거친 뒤 원안위의 승인까지 받아 지난달 6일부터 가동 준비에 들어갔다.
그러나 가동을 준비하는 중에 새롭게 교체한 증기발생기에 문제가 발생해 지난달 26일 원자로가 자동 정지됐고, 조사결과 원자로 헤드 부실공사까지 확인된 것이다.
이에 따라 조사와 점검이 끝나고 잘못 시공된 부위를 제거한 뒤 다시 공사하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3∼4년이 소요되는 원자로 헤드 교체 과정까지 가야 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빛 4호기도 격납건물 공극 문제로 3년 넘게 가동이 멈춰 있는 상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