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중앙><동아> "동양-동아방송 돌려달라"

신문-방송 칸막이 해제시 언론계에 일대 지각변동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위원장 송기인 신부)는 1980년 전두환 군부의 언론 통폐합 조치에 대해 직권조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12일 밝힌 데 대해 <중앙일보>와 <동아일보>가 당시 KBS에 통폐합된 <동양방송>과 <동아방송>가 '강탈'된 것임을 강조하며 강한 회수 의지를 밝혔다.

<동아일보> "보안사 지하실로 끌려가 동아방송 빼앗겨"

<동아일보>는 13일 "언론통폐합 조치로 당시 동아일보 소유의 동아방송과 중앙일보 소유의 동양방송이 KBS로 통폐합됐으며 국제신문이 폐간돼 부산일보에 흡수됐다. 전국적인 언론 통폐합 과정에서 1200여 명의 언론인이 해직됐다"며 "동아일보는 1980년 11월 4일 당시 김상만 회장과 이동욱 사장이 국군보안사령부 지하실로 끌려가 정권 측의 강압에 의해 ‘동아방송의 허가와 관련된 일체의 권한을 포기한다’는 내용의 각서에 서명 날인을 한 뒤 동아방송을 빼앗겼다"고 보도, <동아방송>을 강탈 당했음을 강조했다.

<동아일보>는 이어 "동아일보는 1990년 KBS를 상대로 반환청구소송을 냈지만 대법원은 2001년 소멸시효가 지났다는 이유로 패소 판결을 확정했다"고 덧붙였다.

<동아일보>는 “만약 직권조사가 이뤄지면 가장 큰 쟁점은 동아방송과 동양방송을 원소유자에게 반환할 것인지가 될 것”이라고 진실화해위 관계자의 말을 전하기도 했다.

1980년 11월 전두환 신군부의 언론통폐합 발표를 전하고 있는 신문들. ⓒ연합뉴스


<중앙일보>도 거듭 <동양방송> 환수 의지 드러내

<중앙일보>도 13일 진실화해위의 언론통폐합 직권조사 추진 사실을 전한 뒤, 진실화해위 김갑배 상임위원와의 인터뷰를 통해 <동양방송> 환수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김 상임위원은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최근 언론 통폐합과 관련된 소송의 판결문을 입수해 분석 중"이라며 "조만간 중앙일보.동아일보 등 언론사에도 자료 제출을 요청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상임위원은 '90년 동아일보가 동아방송 반환 소송을 냈지만 패소했다'는 질문에 대해 "공소시효가 지나서 패소한 것이다. 법원에서도 사실관계는 인정했다"며 "사전조사를 개시하면 당시 수사기록과 재판기록을 입수해 조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2001년 대법원 확정판결이 났는데도 직권조사가 가능한가'라는 거듭된 질문에 "확정판결이 있다 해도 재심사유가 있으면, 즉 판결이 부당한 경우엔 진실화해위가 이를 재조사할 수 있다"며 "위원회의 결정이 판결 자체를 번복하는 효력은 없지만 이 결정을 근거로 법원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앙일보>는 이같은 인터뷰 내용을 전한 뒤, 언론통폐합 조치와 관련 "민영방송사인 동양방송(TBC, TV+라디오 방송)과 동아방송(DBS, 라디오 방송)이 한국방송공사(KBS)로 강제 편입됐다"며 "당시 TBC-TV 시청율은 최고 높았다"고 덧붙여 <동양방송> 회수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중앙일보>는 앞서 진실화해위의 정수장학회 강탈 판정이 나온 직후에도 <동양방송>를 돌려줄 것을 요구하는 글을 게재했었다.

김진국 논설위원은 지난 1일 <중앙일보> 31면에 게재한 '과거사 뒤집기'라는 제목의 칼럼을 통해 전두환 신군부의 언론 통폐합과 관련, "중앙신문을 6개, 지방신문을 각도에 한 개씩만 남기고 모두 없앴다"며 "동양방송을 빼앗아 모든 TV를 정부가 장악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이어 정수장학회 문제를 거론하며 "며칠 전 대통령 직속 과거사정리위원회는 정수장학회가 강제 헌납된 것이라며 유족에게 돌려주라고 했다. 그렇다면 그보다 20년이나 뒤인 전두환 시대에 빼앗은 동양방송-동아방송은 어떻게 하려는 걸까"라고 반문한 뒤 "감탄고토(甘呑苦吐)라면 정치적 의도를 의심받지 않겠는가"고 <동양방송> 반환을 요구했다.

부산의 <국제신문> 환수 요청이 기폭제

진실화해위의 80년 언론통폐합 직권조사 검토는 최근 부산의 부일장학회 강탈 판정후 80년에 <부산일보>에 강제통폐합된 부산의 <국제신문>이 진실규명을 신청함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진실화해위의 위원장직을 노대통령의 정치적 스승인 부산출신 송기인 신부가 맡고 있는 현정권 임기내에 문제를 풀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낸 셈.

이 와중에 필연적으로 <동양방송><동아방송> 문제가 불거질 전망이며, 이들에 대해서도 부일장학회와 마찬가지로 강탈 판정이 내려질 경우 <중앙일보><동아일보>의 환수 또는 배상 주장이 잇따를 전망이다.

언론계에서는 이같은 환수 요청이 신문-방송 겸업금지 해제를 공약으로 내걸고 있는 한나라당의 집권과 맞물릴 경우 내년에 언론계에 일대 지각변동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하며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17 12
    나다

    올것이 왔다
    나중에 굴비도 다 환수해야지.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