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제주지사, 시민단체가 퇴진하라고 퇴진할 자리 아냐"
"지방선거 때는 제주도민들이 영리병원이 뭔지 잘 몰랐다"
원 지사는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며 "앞으로 이와 관련된 우리 제주의 여러 가지 국제적인 신뢰나 투자 문제, 지역 경제와 일자리 문제. 그리고 전면적인 불허를 했을 때 제주도민들이 져야 될 부담과 피해,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 종합적인 책임을 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지방선거때 공론조사로 결정짓겠다고 했던 이유에 대해선 "지방 선거 때는, 이 공론조사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에 대해서도...왜냐하면 도민들이 영리 병원 얘기를 하니까 그게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다, 이런 게 대부분이어서..."라고 군색한 해명을 했다.
그는 그러면서 "지금 공론위원회에서 내건 손해 배상도 도민 피해가 없도록 해라, 그리고 헬스케어 타운도 기능을 다 살려라, 대신 이걸 영리병원이 아니라 비영리로 했으면 좋겠다. 이 세 가지 주문을 다 맞출 수 있는 방법을 저희가 방법을 찾아봤지만 결국 모든 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났다"며 "이제는 최종 단계에서 제가 어떤 비난이나 이런 문제 제기가 있다 하더라도 제가 결단을 내리고 책임을 질 수밖에 없는 단계에 온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그러면서 "영리병원에 대해서 꺼리는 의견이 워낙 많아서 그러면 비영리병원으로 전환을 해 보자, 그런데 투자자 측에 권유를 여러 차례 했지만 거부를 했다. 자기네는 당연히 제주특별법에 따라서 들어왔는데 지금 와서 국내 사정으로 비영리로 강요를 하면 자기네는 모든 법적인 수단을 하겠다는 것"이라면서 "입장 바꿔서 당연하지 않겠나? 왜냐하면 이미 병원 건물에만 800억 정도가 투자가 돼 있다. 그거는 투자자가 마음대로 지은 게 아니라 보건복지부에서 지으라고 한 대로 지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