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춘, '다이빙벨' 상영 취소 압박 무렵 서병수 시장에 전화
서병수 "전화 받은 적 있지만 걱정과 우려의 전화"
지난 2014년 부산영화제의 ‘다이빙벨’ 상영 취소 압박 논란 당시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서병수 부산시장에게 전화를 건 사실이 확인됐다.
친박 서병수 부산시장은 2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부산광역시 국정감사에서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017년 6월, 김기춘 전 비서실장 및 조윤선 전 문체부 장관에 대한 재판에서 증인으로 나선 송광용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은 2014년 당시 ‘김기춘 실장이 다이빙벨의 상영을 막기 위해 서병수 시장에게 직접 전화했다’고 증언한 바 있다"며 김 실장과의 통화 여부를 묻자 “받은 적이 있다. 그러나 걱정과 우려를 하는 전화였다”고 답했다.
서 시장은 통화후 부산국제영화제 탄압을 위한 정권 차원의 압박에 자신이 협력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부산시가 어떤 탄압을 했는지 증거를 대라”, “중앙정부의 정책과 부산시의 정책을 연계시킬 수 없다”, “어느 한쪽의 일방적인 주장을 옳다고 말할 수 없다”며 부인으로 일관했다.
이 의원은 이에 대해 “걱정과 우려를 담은 통화는 했지만 상영을 막으라는 지시 받은 바 없다는 서 시장의 답변은 국민 누구도 납득할 수 없는 비겁한 변명”이라며 “청와대까지 나서 당시 특정 영화의 상영을 막고 서 시장이 이에 충실히 협력했음이 드러난 만큼 정치적 책임을 피할 수 없으며, 부산시민이 그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질타했다.
친박 서병수 부산시장은 2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부산광역시 국정감사에서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017년 6월, 김기춘 전 비서실장 및 조윤선 전 문체부 장관에 대한 재판에서 증인으로 나선 송광용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은 2014년 당시 ‘김기춘 실장이 다이빙벨의 상영을 막기 위해 서병수 시장에게 직접 전화했다’고 증언한 바 있다"며 김 실장과의 통화 여부를 묻자 “받은 적이 있다. 그러나 걱정과 우려를 하는 전화였다”고 답했다.
서 시장은 통화후 부산국제영화제 탄압을 위한 정권 차원의 압박에 자신이 협력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부산시가 어떤 탄압을 했는지 증거를 대라”, “중앙정부의 정책과 부산시의 정책을 연계시킬 수 없다”, “어느 한쪽의 일방적인 주장을 옳다고 말할 수 없다”며 부인으로 일관했다.
이 의원은 이에 대해 “걱정과 우려를 담은 통화는 했지만 상영을 막으라는 지시 받은 바 없다는 서 시장의 답변은 국민 누구도 납득할 수 없는 비겁한 변명”이라며 “청와대까지 나서 당시 특정 영화의 상영을 막고 서 시장이 이에 충실히 협력했음이 드러난 만큼 정치적 책임을 피할 수 없으며, 부산시민이 그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질타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