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 화물과적, 세월호 참사후 반짝 줄었다 원대복귀"
이용호 "계근 뒤 추가 화물싣는 관행 근절시켜야"
화물과적 선박 수가 세월호 참사가 있었던 2014년에 반짝 급감했다가 원점 회귀한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이용호 국민의당 의원이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2011년 이후 전국 선박과적 자료에 따르면, 적발건수는 2011년 83건, 2012년 74건, 2013년 86건이었다가, 세월호 참사가 있었던 2014년에는 15건으로 급감했으나, 2015년에는 55건이 적발되고, 2016년은 8월 기준으로 68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과적 적발건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세월호가 출항했던 인천으로 2011년 이후 총 118건을 기록했고, 목포가 74건, 평택이 56건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속초-동해-부안 등은 같은 기간동안 적발건수가 한 건도 없었다.
국민안전처 해양본부측은 "계근장이 부두와 떨어져 있다"며 "계근 후 화물을 추가로 싣는 행위를 모두 막을 수 는 없다"고 해명했다고 이 의원은 전했다.
이 의원은 "특히 계근을 마친 뒤 화물을 추가로 싣는 관행이 계속되고 있는 것을 근절하지 못한다면 우리 국민들에게서 제2의 세월호가 나올 수 밖에 없다"며 "관리당국은 철저한 단속과 제도 정비를 병행해, 목숨을 담보로 운반비용을 절감하려는 일부 몰염치한의 눈속임을 방치해선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28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이용호 국민의당 의원이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2011년 이후 전국 선박과적 자료에 따르면, 적발건수는 2011년 83건, 2012년 74건, 2013년 86건이었다가, 세월호 참사가 있었던 2014년에는 15건으로 급감했으나, 2015년에는 55건이 적발되고, 2016년은 8월 기준으로 68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과적 적발건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세월호가 출항했던 인천으로 2011년 이후 총 118건을 기록했고, 목포가 74건, 평택이 56건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속초-동해-부안 등은 같은 기간동안 적발건수가 한 건도 없었다.
국민안전처 해양본부측은 "계근장이 부두와 떨어져 있다"며 "계근 후 화물을 추가로 싣는 행위를 모두 막을 수 는 없다"고 해명했다고 이 의원은 전했다.
이 의원은 "특히 계근을 마친 뒤 화물을 추가로 싣는 관행이 계속되고 있는 것을 근절하지 못한다면 우리 국민들에게서 제2의 세월호가 나올 수 밖에 없다"며 "관리당국은 철저한 단속과 제도 정비를 병행해, 목숨을 담보로 운반비용을 절감하려는 일부 몰염치한의 눈속임을 방치해선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