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선박 화물과적, 세월호 참사후 반짝 줄었다 원대복귀"

이용호 "계근 뒤 추가 화물싣는 관행 근절시켜야"

화물과적 선박 수가 세월호 참사가 있었던 2014년에 반짝 급감했다가 원점 회귀한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이용호 국민의당 의원이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2011년 이후 전국 선박과적 자료에 따르면, 적발건수는 2011년 83건, 2012년 74건, 2013년 86건이었다가, 세월호 참사가 있었던 2014년에는 15건으로 급감했으나, 2015년에는 55건이 적발되고, 2016년은 8월 기준으로 68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과적 적발건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세월호가 출항했던 인천으로 2011년 이후 총 118건을 기록했고, 목포가 74건, 평택이 56건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속초-동해-부안 등은 같은 기간동안 적발건수가 한 건도 없었다.

국민안전처 해양본부측은 "계근장이 부두와 떨어져 있다"며 "계근 후 화물을 추가로 싣는 행위를 모두 막을 수 는 없다"고 해명했다고 이 의원은 전했다.

이 의원은 "특히 계근을 마친 뒤 화물을 추가로 싣는 관행이 계속되고 있는 것을 근절하지 못한다면 우리 국민들에게서 제2의 세월호가 나올 수 밖에 없다"며 "관리당국은 철저한 단속과 제도 정비를 병행해, 목숨을 담보로 운반비용을 절감하려는 일부 몰염치한의 눈속임을 방치해선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진형 기자

댓글이 2 개 있습니다.

  • 1 0
    일본에서 폐선직전의 세월호를

    고철가격 50억에 매입후..50억정도
    들여서 증축과 리모델링하면..총100억이 원가인데..한국산업은행은
    자산가치가168억으로 회계처리된것을 눈감아주고..100억원을 담보
    대출해준다..이것은권력이 작용해야만가능하다..그리고 110억의선박
    보험에든다..청해진은 과적화물로 이익을내고..권력기관은 여객에서
    이익을낸다..자기자본은 0

  • 1 0
    이 나라는

    미래가 없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