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사드 배치, 한국과 공식 협의한 적 없어"
'공식 협의'란 표현으로 파문 진화
미국 국방부는 1일(현지시간) 미사일방어체계 핵심인 사드(THAAD)의 한국 배치 논란과 관련, "한국과 아무런 공식 협의도 가져온 적이 없다"고 밝혔다고 국방부가 전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2일 브리핑에서 "사드 미사일의 주한미군 배치 문제는 대한민국 국방부와 미국 국방부는 어떠한 협의도 한 적이 없다"며 "또한 미 국방부도 사드의 주한미군 배치와 관련해서 어떠한 결정도 내린 바 없고, 또한 우리 국방부와 합의한 바도 없다는 입장을 우리 당국자에게 명확하게 전달해 왔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측 우리 한국의 카운터파트너 담당 부차관보는 어떠한 결정을 내린 바도 없고, 한국과 협의한 바도 없다는 것을 명확하게 우리 당국에, 국방부에 알려 왔다"며 거듭 파문 진화를 위해 부심했다.
로버트 워크 미국방부 부장관은 그러나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외교협회(CFR)가 주최한 간담회에서 "1개 사드 포대가 북한의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괌에 배치돼 있다. 세계의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그 사드 포대를 한국에 배치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며 "우리는 매우 신중히 사드의 한국 배치 여부를 검토 중이며 부지 조사도 하고 배치가 옳은 일인지 한국 정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혀 파장이 일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2일 브리핑에서 "사드 미사일의 주한미군 배치 문제는 대한민국 국방부와 미국 국방부는 어떠한 협의도 한 적이 없다"며 "또한 미 국방부도 사드의 주한미군 배치와 관련해서 어떠한 결정도 내린 바 없고, 또한 우리 국방부와 합의한 바도 없다는 입장을 우리 당국자에게 명확하게 전달해 왔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측 우리 한국의 카운터파트너 담당 부차관보는 어떠한 결정을 내린 바도 없고, 한국과 협의한 바도 없다는 것을 명확하게 우리 당국에, 국방부에 알려 왔다"며 거듭 파문 진화를 위해 부심했다.
로버트 워크 미국방부 부장관은 그러나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외교협회(CFR)가 주최한 간담회에서 "1개 사드 포대가 북한의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괌에 배치돼 있다. 세계의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그 사드 포대를 한국에 배치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며 "우리는 매우 신중히 사드의 한국 배치 여부를 검토 중이며 부지 조사도 하고 배치가 옳은 일인지 한국 정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혀 파장이 일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