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독자들께서 채우는 공간입니다.
가급적 남을 비방하거나 심한 욕설, 비속어, 광고글 등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8시간거리인 이어도....우리의 핏덩이

내조국
조회: 142

중국은 최근 국방 전략을 대륙 중심에서 해양 군사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바꾸고 있다. 해양방위 경계선인 제1도련(오키나와∼대만∼필리핀)과 제2도련(사이판∼괌∼인도네시아) 설정에는 태평양 제패를 노리는 야심이 엿보인다. 올해 취역하는 중국 최초 항공모함 바랴크는 해양 군사력 강화의 대표적 사례다. 작년 중국은 15년 만에 처음으로 군함 2척을 원산항에 보내 동해 진출 의도를 드러냈다.
점점 거세질 중국의 영유권 주장에 대항하기 위해서도 제주 해군기지는 반드시 필요하다. 중국은 남중국해에서는 동남아 국가들과,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에서는 일본과 분쟁 중이다. 이어도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 우리 해군이 부산에서 출동하면 23시간, 닝보에서 출발하는 중국 동해함대는 18시간이 걸린다. 제주 해군기지가 만들어지면 8시간 만에 현장에 도달할 수 있다. 군 작전에서 출동 시간은 승패를 좌우하는 결정적 요인이다.
제주 해군기지는 국내 수출입 해상물동량의 90% 이상이 지나는 제주 항로를 보호하기 위해서도 긴요하다. 이어도 인근 해역에는 최대 1000억 배럴의 원유와 72억 t의 천연가스가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이 지난해 7월 이어도 주변에 관공선을 보낸 데 이어 관할 해역을 주장한 배경에는 자원 욕심도 담겨 있다.
제주 해군기지 반대운동가들은 평화와 환경보호를 내세우지만 결과적으로 중국과 북한을 돕고 있다. 이쯤에서 무책임한 방해 활동을 접어야 한다. 제주 해군기지를 건설하지 말자는 것은 국가 안보와 국익을 포기하자는 주장이나 다름없다. 그리고 한국 영유권이 분명한 이어도에 중국이 경제력과 군사력을 무기삼아 집적대는 것은 패권주의적 행태에 다같이 촛불을 들어야 할때다.

댓글쓰기 수정 삭제 목록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