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대북 원유공급을 이미 줄이기 시작했거나 앞으로 수개월내 줄일 것이라는 외신 보도가 잇따라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뉴욕타임스> "북한 추가 핵실험시 중국 석유공급 축소 방침"
미국의 <뉴욕타임스> 인터넷판은 19일(현지시간) "북한이 새로 핵실험을 시행하고 6자회담 복귀를 거부할 경우 중국이 앞으로 수개월 사이에 북한에 대한 압력을 강화할 가능성이 있고, 압력수단은 석유공급 삭감 등이 될 것"이라고 중국정부 방침에 밝은 학자의 말을 빌어 보도했다.
익명을 요구한 이 학자에 따르면, 중국정부 당국자는 북한이 국제사회의 압력을 무시할 경우 북한에의 석유공급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는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북한은 석유 수입 가운데 80~90%를 중국에서 들여오고 있다. 중국은 현재 북한에 대해 시장가격보다 크게 싼 가격으로 석유를 공급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또다른 중국전문가의 말을 빌어, 중국 정부 고위관리가 최근 1주일 사이에 유엔 안보리가 채택한 무기에 관한 제재 이상의 새로운 제재를 가하는 방법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그러나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하면 중국은 이런 제재를 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닛케이> "이미 16일부터 석유공급 축소"
이에 앞서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9일 홍콩의 한 인권단체 말을 빌어 "북한의 원유공급을 담당하는 중국의 ‘중조우의수유공사’라는 기업이 지난 16일부터 대북 원유공급을 줄였다"고 보도했다. 단둥에 있는 중조 우의수유기공사는 송유관을 통해 북한 신의주에 연간 50만톤 정도의 석유를 공급하고 있는 국영기업으로, 16일부터 북한에 석유공급을 줄였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북한으로 원유를 보내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중국 단둥(丹東)시 조중우의송유관공사 정문. 최근 이 회사가 북한에 대한 석유공급 축소하기 시작했다는 보도가 나와 주목된다. ⓒ연합뉴스
북한은 2003년 6자회담 결렬때와 지난 7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직후에도 단기간 석유공급을 축소한 적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관련, 중국의 <제일재경일보>는 20일 "북한 경제가 미국의 금융제재 등으로 국제사회에서 고립이 심화되면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석유와 식품 등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단계에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미 전문가 "북한 대응은 군사적 충돌 또는 회담 복귀"
미 외교협의회(CFR)의 중국 전문가인 아담 시갈 박사는 19일(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회견에서 이같은 보도들과 관련, "중국의 대북원유공급 중단은 중국이 북한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장 중요한 압박수단"이라고 사실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었다.
그는 "과거 중국은 3일간 대북원유 공급을 중단하는 조치를 통해 북한을 6자회담장으로 끌어냈던 경험이 있다"며 “만일 중국이 대북 원유공급 문제를 북한에 대한 정치적 지렛대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 사실이라면 이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국제사회에 대한 희소식”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나 북한의 대응과 관련해선 "북한이 중국의 단기적인 경제제재 조치에는 견딜 준비가 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대북 원유공급 감축 등 경제제재가 장기화될 경우에는 북한은 군사적 충돌이나 회담 복귀라는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