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아파트거래 '꽁꽁', 16개월래 최저로 급감

미국발 금융위기 당시 거래마비 사태 재연

아파트 시장이 좀체 살아나지 않고 있다.

15일 국토해양부가 내놓은 아파트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신고된 전국 아파트 거래 건수는 3만454건으로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주택시장이 얼어붙었던 지난해 2월(2만8천741건) 이후 16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아파트는 매매 계약 체결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신고하게 돼 있어 6월 신고 물량은 올해 4~6월 계약분의 일부이다.

지난달 거래건수는 최근 4년(2006~2009년)의 같은 달 평균(4만2천847건)에 비해 28.9% 적은 것이다.

전국의 아파트 거래 건수는 올해 2월 3만9천58건에서 3월 4만6천474건으로 늘었으나 4월 4만3천975건, 5월 3만2천141건으로 줄었고 지난달에도 전월 대비 5.2% 감소했다.

서울의 아파트 거래가 2천51건으로 전월 대비 9.4% 줄어 작년 1월(1천778건)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고, 수도권 전체로는 7천967건으로 전달(9천28건)에 이어 2개월 연속 1만건에 미치지 못했다.

서울에서는 강남 3개구의 아파트 거래가 473건으로 전달(402건)보다는 17.7% 늘었지만, 여전히 활발하지는 않았으며 강북 14개구는 5월 1천104건에서 지난달 880건으로 뚝 떨어졌고 5개 신도시, 6대 광역시 거래도 감소세를 이어갔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면적 77㎡는 전달보다 1천만원 안팎 떨어진 8억6천만원(4층)과 8억7천500만원(10층)에 거래됐다.

강남구 개포동 주공1단지 전용 51㎡의 지난달 실거래가는 9천만원(4층)으로 전달 시세와 비슷했고, 서초구 반포동 AID차관 아파트 전용 73㎡는 11억2천500만~11억5천만원에 사고 팔렸다.

구체적인 자료는 아파트 실거래가 공개 홈페이지(http://rt.mltm.go.kr)나 국토부 홈페이지(http://www.mltm.go.kr)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댓글이 2 개 있습니다.

  • 15 0
    전국의

    아파트 값은 지금 가격의 3분의 1로 폭락해야 정상이다.
    집을 한채 가지고 주거목적으로 사는 사람들이야 값이 폭락해도 아무 상관없다.
    능력도 안되는 것들이 투기목적으로 무리하게 대출받거나 해서 큰 평수로 늘려가느라
    살던 집은 안팔리고 분양 받은것은 폭락하고 금리는 오르고 미칠지경이지...

  • 11 0
    변치않는 원칙은?

    "부동산시장에서 거래가 급감한 후 3~6개월이 지나면 반드시 폭락한다"는 사실입니다...
    주식시장에서의 매물이 매물을 부르는 투매현상이 부동산시장에서도 똑같이 일어납니다...
    그런데도 정부에서는 특단의 대책을 내놓지 못하는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요?...
    그건, 이런 상황에서는 그 어떤 대책도 무용지물이기 때문입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