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계 "군대를 동원할 수도 없고"
<기자의눈> 오늘 <조선일보>에 두번 나온 "군대 동원"
정두언 한나라당 의원이 17일자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세종시 당론 채택 부결시 "그 다음 절차는 없다"고 국민투표 가능성을 일축하며 했다는 말이다.
<조선일보>는 또 같은 날 정치부장 칼럼을 통해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 그룹인 한나라당 의원이 "이 대통령은 서울시장 시절 '(중앙 부처의 지방 이전을) 군대를 동원해서라도 막고 싶다'고 하지 않았느냐"면서 "이 대통령의 그런 심정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같은 날 <조선일보> 지면에 친이계 인사들의 "군대 동원" 발언이 두개나 등장한 것이다.
물론 이들 친이계 발언은 '지금은 세상이 바뀌어 군대를 동원할 수는 없다'는 전제를 분명히 깔고 나온 말들이다. 따라서 이 말을 한 당사자들은 이를 문제 삼으면 '말꼬리 잡기'라고 반발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듣는 사람 입장에선 뭔가 '섬뜩'하다. 권력인사들이 '군대 동원'이란 용어를 너무 쉽게 사용하기 때문이다.
'군대 동원'은 한국 현대사의 가장 수치스런 장면이다. 김영삼 문민정부 출범 이후에야 과감한 하나회 숙청을 통해 간신히 뿌리 뽑은 한국의 치부다. 그후 한국 정계,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 '군대 동원'은 일종의 금기어가 돼 왔다. 지난번 촛불집회때 일부 극우인사들이 '군대 동원'을 주장하긴 했으나 넋나간 망발로 받아들여졌다.
정치는 '말'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치인의 말 한마디 한마디는 더없이 정제되고 신중해야 한다. 해서 될 말이 있고, 절대로 해선 안 될 말이 있다. '군대 동원'이란 말이 바로 결코 해선 안 될 말이다.
요즘 가뜩이나 '역행'한다는 지적이 많다. 이런 마당에 '군대 동원'이란 말까지 되살아나선 안된다. '군대 동원'이란 말이 부활하면, 이와 동시에 '4.19 혁명' '부마 항쟁' '광주 항쟁' 같은 말도 함께 부활한다는 점을 권력은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