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혼란, 독일 침몰...'반도체 교통정리'?
D램값 1/10로 폭락, 대만-일본 "살릴 것인가 버릴 것인가"
이달 들어 증시에서 주목할 대목은 외국인들의 삼성전자 매수가 눈에 띄게 늘고 있다는 사실이다. 대표주 삼성전자 주가가 활기를 띄자 코스피지수도 최근 상승세를 타고 있다. 외국인들은 왜 삼성전자를 주목하는가.
이유는 과잉중복 투자로 위기에 몰렸으나 정부 지원과 합종연횡을 통해 활로를 찾으려던 독일, 대만, 일본 반도체업체들이 줄줄이 좌초 위기를 맞고 있기 때문이다. 각국 정부가 이들의 회생에 대해 의문의 눈길을 던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우선 D램 랭킹 5위인 독일 키몬다가 사실상 침몰했다. 지난 1월 파산보호 신청후 외국 투자자 유치를 위해 동분서주하던 키몬다는 투자 유치 및 정부지원 확보에 끝내 실패, D램 생산 포기를 선언한 뒤 이달말 청산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대만과 일본 정부가 각각 공적자금을 투입한 뒤 반도체 연합전선을 구축하려던 구상도 위기를 맞고 있다. D램 사업 자체가 단순한 순환기적 불황이 아닌 '구조적 불황' 상태로 이들 정부가 공적자금을 투입해 자국 반도체업체들을 연명시키더라도 과잉공급 구조가 해소되지 않는 한, 밑빠진 독에 물붓기가 될 것이란 판단에서다.
D램은 지난 1년반 사이에 가격이 10분의 1로 폭락한 상태다. 세계 반도체 각사의 감산 노력으로 올 들어 잠시 반등 기미를 보이다가 최근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과잉중복이 워낙 심각하기 때문이다.
세계 랭킹 3위인 일본 유일의 반도체업체 엘피다는 지난 5분기에 이어 이번에도 대규모 적자가 예상되며 6분기 연속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랭킹 2위인 한국의 하이닉스, 4위인 미국 마이크론도 적자 행진이 계속되고 있다. 반도체 6개사를 합할 경우 D램 점유율이 23%에 달하는 대만도 2007년 중반부터 4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랭킹 1위는 삼성전자도 지난해 4분기 반도체 부문이 적자로 돌아섰다.
이처럼 상황이 심각하게 돌아가자, 반도체산업을 '국책산업'으로 육성해온 대만 정부는 공적자금을 투입해 자국 반도체업계를 통합시킨 뒤 일본의 엘피다와 연대전선을 펴는 안을 일본측에 제안했고, 일본의 엘피다 회장은 "가능하다면 일본과 대만이 연대하는 게 이상적"이라며 화답했다. 대만정부는 오는 5월 '대만메모리(TMC)'라는 정부 출자 회사를 세워, 일본의 엘피다나 미국의 마이크론과 연대한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일부 대만반도체업체들이 사실상의 국유화에 강한 거부반응을 보이면서 구상 자체가 무력화될 위기를 맞고 있다.
일본의 엘피다도 워낙 누적적자가 눈덩이처럼 커지면서 당장 수천억엔의 자금 공급이 시급한 상태다. 문제는 일본정부가 공적자금을 투입하더라도 회생이 가능한가로 쏠리고 있다. 지난해말 반도체는 10% 정도 공급과잉 상태로 추산됐다. 그러나 세계경기가 급랭하면서 과잉공급 상태가 20~30%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더욱 관건은 불황이 과연 언제 끝날 것인가이다. IMF 등의 최근 전망대로 불황이 장기화한다면 앞으로도 무한정 정부가 부담을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대만, 일본정부가 공적자금으로 자국 반도체업체들을 살릴 경우 세계경제가 회복되더라도 공급과잉 상태가 해소되지 않으면서 치킨게임이 장기화할 것이란 우려가 대만, 일본 내부에서 제기되면서 혼란을 심화시키고 있다. 또한 향후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D램 자체의 수요가 줄어들 것이란 전망도 이들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을 머뭇거리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런 흐름에서 볼 때, 랭킹 1위의 선점효과 및 사업다각화에다가 최근 원-달러환율 급등에 따른 환율효과까지 누리고 있는 삼성전자는 점점 유리한 고지를 굳혀가고 있다는 게 외국계 판단이다. 특히 삼성전자가 LCD에서 최근 환율 특수를 누리고 있는 점이 치킨게임이 장기화하더라도 삼성전자가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것이란 판단에 힘을 실어주면서 경쟁사들을 당황케 하고 있다. 때문에 일본 내에선 "반도체를 살릴 것인가, 버릴 것인가를 고민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각국이 자국산업을 보호하려 하면서 중복과잉 해소가 늦춰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되는 현시점에서 반도체부문의 중복과잉 문제가 해소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는 것은 분명 한국경제에 낭보다. 하지만 반도체에만 집중하고 있는 하이닉스 등은 여전히 취약한 구조라는 점에서 정부와 업계의 장기적 마스터플랜 마련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유는 과잉중복 투자로 위기에 몰렸으나 정부 지원과 합종연횡을 통해 활로를 찾으려던 독일, 대만, 일본 반도체업체들이 줄줄이 좌초 위기를 맞고 있기 때문이다. 각국 정부가 이들의 회생에 대해 의문의 눈길을 던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우선 D램 랭킹 5위인 독일 키몬다가 사실상 침몰했다. 지난 1월 파산보호 신청후 외국 투자자 유치를 위해 동분서주하던 키몬다는 투자 유치 및 정부지원 확보에 끝내 실패, D램 생산 포기를 선언한 뒤 이달말 청산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대만과 일본 정부가 각각 공적자금을 투입한 뒤 반도체 연합전선을 구축하려던 구상도 위기를 맞고 있다. D램 사업 자체가 단순한 순환기적 불황이 아닌 '구조적 불황' 상태로 이들 정부가 공적자금을 투입해 자국 반도체업체들을 연명시키더라도 과잉공급 구조가 해소되지 않는 한, 밑빠진 독에 물붓기가 될 것이란 판단에서다.
D램은 지난 1년반 사이에 가격이 10분의 1로 폭락한 상태다. 세계 반도체 각사의 감산 노력으로 올 들어 잠시 반등 기미를 보이다가 최근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과잉중복이 워낙 심각하기 때문이다.
세계 랭킹 3위인 일본 유일의 반도체업체 엘피다는 지난 5분기에 이어 이번에도 대규모 적자가 예상되며 6분기 연속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랭킹 2위인 한국의 하이닉스, 4위인 미국 마이크론도 적자 행진이 계속되고 있다. 반도체 6개사를 합할 경우 D램 점유율이 23%에 달하는 대만도 2007년 중반부터 4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랭킹 1위는 삼성전자도 지난해 4분기 반도체 부문이 적자로 돌아섰다.
이처럼 상황이 심각하게 돌아가자, 반도체산업을 '국책산업'으로 육성해온 대만 정부는 공적자금을 투입해 자국 반도체업계를 통합시킨 뒤 일본의 엘피다와 연대전선을 펴는 안을 일본측에 제안했고, 일본의 엘피다 회장은 "가능하다면 일본과 대만이 연대하는 게 이상적"이라며 화답했다. 대만정부는 오는 5월 '대만메모리(TMC)'라는 정부 출자 회사를 세워, 일본의 엘피다나 미국의 마이크론과 연대한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일부 대만반도체업체들이 사실상의 국유화에 강한 거부반응을 보이면서 구상 자체가 무력화될 위기를 맞고 있다.
일본의 엘피다도 워낙 누적적자가 눈덩이처럼 커지면서 당장 수천억엔의 자금 공급이 시급한 상태다. 문제는 일본정부가 공적자금을 투입하더라도 회생이 가능한가로 쏠리고 있다. 지난해말 반도체는 10% 정도 공급과잉 상태로 추산됐다. 그러나 세계경기가 급랭하면서 과잉공급 상태가 20~30%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더욱 관건은 불황이 과연 언제 끝날 것인가이다. IMF 등의 최근 전망대로 불황이 장기화한다면 앞으로도 무한정 정부가 부담을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대만, 일본정부가 공적자금으로 자국 반도체업체들을 살릴 경우 세계경제가 회복되더라도 공급과잉 상태가 해소되지 않으면서 치킨게임이 장기화할 것이란 우려가 대만, 일본 내부에서 제기되면서 혼란을 심화시키고 있다. 또한 향후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D램 자체의 수요가 줄어들 것이란 전망도 이들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을 머뭇거리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런 흐름에서 볼 때, 랭킹 1위의 선점효과 및 사업다각화에다가 최근 원-달러환율 급등에 따른 환율효과까지 누리고 있는 삼성전자는 점점 유리한 고지를 굳혀가고 있다는 게 외국계 판단이다. 특히 삼성전자가 LCD에서 최근 환율 특수를 누리고 있는 점이 치킨게임이 장기화하더라도 삼성전자가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것이란 판단에 힘을 실어주면서 경쟁사들을 당황케 하고 있다. 때문에 일본 내에선 "반도체를 살릴 것인가, 버릴 것인가를 고민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각국이 자국산업을 보호하려 하면서 중복과잉 해소가 늦춰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되는 현시점에서 반도체부문의 중복과잉 문제가 해소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는 것은 분명 한국경제에 낭보다. 하지만 반도체에만 집중하고 있는 하이닉스 등은 여전히 취약한 구조라는 점에서 정부와 업계의 장기적 마스터플랜 마련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