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철언 처남 "사과박스 크기 보석함에 보석 가득"
부인 현경자, 남편과 별도로 200억 비자금 관리
박철언 전 체육청소년부 장관의 부인 현경자씨(60.전 국회의원)가 남편과는 별도로 2백억원의 비자금을 관리했다는 증언이 나와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20일 <뉴시스>에 따르면, 박 전 장관의 처남 현모씨(58)는 이날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박 전 장관이 구속된 후 누나가 걱정이 돼서 큰 누나집에 통장과 목도장 50여개씩과 각종 보석, 모피코트 등을 잔뜩 옮겨놓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누나가 형, 6촌친척, 시댁식구, 큰언니 아들과 딸 등 친인척 명의로 해 둔 돈이 200억원 정도 됐었다"며 "현재 남아있는 친척명의로는 평균 40억원 정도 유지시켰던 큰 형(65) 명의 계좌에 20억원 정도 남아있고 사돈 쪽도 좀 남아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현씨는 자신 명의의 대한투자신탁 입출금 내역을 보면 지난 1993년부터 2002년까지 10년 간 100여개 계좌에서 156억 정도를 입출금한 것을 알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간 돈의 관리 내역을 보면 작게는 70만원에서 크게는 4억원으로 나누어 신탁형저축, 예금형, 주식형, 공사채형 등 다양한 형태로 돈을 관리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사과상자 정도의 큰 보석함은 엄지손가락만한 8캐럿 물방울 다이아, 1억원 상당의 다이아몬드 목걸이, 루비, 에메랄드 등등 각종 보석으로 가득했으며, 수천만원에서 1억여 원에 달하는 P명품 시계도 있었다"며 "다른 사람에게 받은 것은 아니고 자기 돈으로 구입한 물건들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아울러 "호피코트와 명품으로 알려진 S코트 등 각종 명품 옷 수백 벌을 큰 누나 집으로 옮겨놓았지만 큰 매형이 출국금지를 당한 후 잘 아는 지인의 집으로 다시 이것들을 옮겼다"고 증언했다.
현경자씨의 돈의 출처에 대해서는 "펀드 등을 통해 돈을 불린 것"이라며 "당시 이자율이 꽤 높아 거의 10%에 달하는 곳도 있었다"면서 박 전 장관이 말한 이자놀이로 현씨가 돈을 모은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이밖에도 현씨는 차명계좌와 명품 옷 외에 부동산이 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현씨는 "현재 누나명의로 돼 있는 용인군 원삼면 사암리 일대의 900여평의 땅은 고급빌라촌을 형성할 수 있도록 허가해 준 대가로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처음 땅을 받을 당시는 박 전 장관 명의로 400여평, 누나이름으로 800여평 해서 총 1200여평이었는데 택지조사 후 길을 내면서 지금의 900여평으로 줄어들었고 모두 누나 명의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 보스톤에 40~50만불짜리, 우리나라 돈 5억 정도 하는 집을 한 채 가지고 있다"며 "집 뿐만 아니라 해외 계좌에 백만불 정도 따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언급했다.
그는 "그 집과 백만불 정도 되는 돈은 누나의 요청에 의해 박 전 장관이 재작년 말 겨울에서 지난해 1월 사이에 아들 명의로 이전했다"며 "박 전 장관이 월세로 살았다는 그 집도 실상 호화 아파트인 것으로 알고 있다. 우리나라로 치자면 타워팰리스 정도라고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20일 <뉴시스>에 따르면, 박 전 장관의 처남 현모씨(58)는 이날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박 전 장관이 구속된 후 누나가 걱정이 돼서 큰 누나집에 통장과 목도장 50여개씩과 각종 보석, 모피코트 등을 잔뜩 옮겨놓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누나가 형, 6촌친척, 시댁식구, 큰언니 아들과 딸 등 친인척 명의로 해 둔 돈이 200억원 정도 됐었다"며 "현재 남아있는 친척명의로는 평균 40억원 정도 유지시켰던 큰 형(65) 명의 계좌에 20억원 정도 남아있고 사돈 쪽도 좀 남아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현씨는 자신 명의의 대한투자신탁 입출금 내역을 보면 지난 1993년부터 2002년까지 10년 간 100여개 계좌에서 156억 정도를 입출금한 것을 알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간 돈의 관리 내역을 보면 작게는 70만원에서 크게는 4억원으로 나누어 신탁형저축, 예금형, 주식형, 공사채형 등 다양한 형태로 돈을 관리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사과상자 정도의 큰 보석함은 엄지손가락만한 8캐럿 물방울 다이아, 1억원 상당의 다이아몬드 목걸이, 루비, 에메랄드 등등 각종 보석으로 가득했으며, 수천만원에서 1억여 원에 달하는 P명품 시계도 있었다"며 "다른 사람에게 받은 것은 아니고 자기 돈으로 구입한 물건들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아울러 "호피코트와 명품으로 알려진 S코트 등 각종 명품 옷 수백 벌을 큰 누나 집으로 옮겨놓았지만 큰 매형이 출국금지를 당한 후 잘 아는 지인의 집으로 다시 이것들을 옮겼다"고 증언했다.
현경자씨의 돈의 출처에 대해서는 "펀드 등을 통해 돈을 불린 것"이라며 "당시 이자율이 꽤 높아 거의 10%에 달하는 곳도 있었다"면서 박 전 장관이 말한 이자놀이로 현씨가 돈을 모은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이밖에도 현씨는 차명계좌와 명품 옷 외에 부동산이 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현씨는 "현재 누나명의로 돼 있는 용인군 원삼면 사암리 일대의 900여평의 땅은 고급빌라촌을 형성할 수 있도록 허가해 준 대가로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처음 땅을 받을 당시는 박 전 장관 명의로 400여평, 누나이름으로 800여평 해서 총 1200여평이었는데 택지조사 후 길을 내면서 지금의 900여평으로 줄어들었고 모두 누나 명의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 보스톤에 40~50만불짜리, 우리나라 돈 5억 정도 하는 집을 한 채 가지고 있다"며 "집 뿐만 아니라 해외 계좌에 백만불 정도 따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언급했다.
그는 "그 집과 백만불 정도 되는 돈은 누나의 요청에 의해 박 전 장관이 재작년 말 겨울에서 지난해 1월 사이에 아들 명의로 이전했다"며 "박 전 장관이 월세로 살았다는 그 집도 실상 호화 아파트인 것으로 알고 있다. 우리나라로 치자면 타워팰리스 정도라고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