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힐 차관보, 오늘 방북 불능화 현황 시찰

UEP 의혹 해소와 함께 김정일 위원장 전격 면담 여부에 관심

북핵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영변 3대 핵시설 불능화 현황 시찰과 핵 프로그램 신고 문제 협의 등을 위해 3일 방북한다.

힐 차관보는 이날 오전 경기도 모처의 미군 비행장에서 미군 항공기를 이용해 평양에 도착할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5일까지 북한에 체류할 예정인 힐 차관보는 평양 도착 이후 5㎿ 원자로와 핵재처리시설, 핵연료공장 등 영변 3대 핵시설 불능화 현장을 둘러보는 한편, 협상 파트너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과 만나 연내 불능화와 신고 문제를 매듭짓기 위한 '10.3합의 이행방안'에 대해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측은 소위 농축우라늄프로그램(UEP) 관련 의혹이나 핵 이전설 등에 대해 '없는 것을 있다고 할 수 없다'는 태도를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힐 차관보가 김계관 부상 뿐 아니라 UEP 해명 등에 매우 소극적인 군부 인사들과도 면담을 가질 예정인데다 힐 차관보의 방북을 계기로 '증거에 입각한' 적극적 해명과 신고를 결심할 경우 6자회담이 순항할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

미국측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 신고와 관련, 추출된 플루토늄 총량은 물론 UEP 관련 의혹, 핵 이전 문제 등 과거 핵활동 전반이 신고서에 담기거나 '만족할 수준'의 해명이 전제돼야 테러지원국 명단 삭제 등 북한에 주어질 안보적 조치가 가능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힐 차관보와 북측의 협의가 긍정적인 결과를 낼 경우 6자 수석대표회담은 당초 의장국 중국이 각국에 통보한 대로 6일이나 하루 이틀 늦은 시일에 베이징에서 열릴 전망이다.

그러나 UEP 의혹에 대해 북한측이 기존의 입장을 고수하거나 소극적인 해명에 나서 북.미가 접점을 찾지 못할 경우 6자 수석대표 회담의 연내 개최는 물론 테러지원국 해제 등도 어려워 지면서 6자회담 국면이 부정적으로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힐 차관보는 국내 방문 기간 중 "북한이 농축우라눔(UEP)에 사용할 수 있는 설비나 자재를 도입했다는 믿을 만한 증거가 있다"며 "우리는 북한이 UEP와 관련해 무엇을 했는지 인정하고, 무엇이 진행됐는지를 해명하고, 관련 자재 등을 처분하기를 원한다"고 강조했었다.

힐 차관보는 이번 방북에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친서를 휴대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으나 체류기간중 북한 최고 지도자인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면담이 전격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에 국제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홍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