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도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
재정적자 심화 등 미국의 글로벌 패권 쇠락 가속 붙을듯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16일(현지시간)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최고등급인 'Aaa'에서 'Aa1'으로 한 단계 강등했다.
등급 전망은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변경, 당분간 추가 강등은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
무디스는 보고서를 통해 "지난 10여년간 미국 연방정부 부채는 지속적인 재정 적자로 인해 급격히 증가해왔다"면서 "이 기간 연방 재정지출은 증가한 반면 감세 정책으로 재정 수입은 감소했다"라고 강등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재정 적자와 부채가 증가하고 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정부 부채에 대한 이자 지급도 현저히 증가했다"면서 이자 비용을 포함한 의무적 지출이 총 재정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4년 약 73%에서 2035년 약 78%로 상승할 것으로 추산했다.
무디스는 앞서 지난 2023년 11월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조정, 등급 하향 가능성을 예고한 바 있다.
앞서 3대 국제신용평가사 중 다른 신용평가사들은 이미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강등했다.
가장 먼저 S&P가 지난 2011년 미국 등급을 AAA에서 AA+로 낮췄고, 피치는 지난 2023년 8월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낮췄다.
신용등급 하향으로 미국 정부는 세계 최대 규무인 국가부채의 조달 금리가 높아지며 재정적자가 더욱 커지고 글로벌 달러화 약세도 심화되는 등, 미국의 글로벌 패권 쇠락에 가속이 붙을 전망이다.
등급 전망은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변경, 당분간 추가 강등은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
무디스는 보고서를 통해 "지난 10여년간 미국 연방정부 부채는 지속적인 재정 적자로 인해 급격히 증가해왔다"면서 "이 기간 연방 재정지출은 증가한 반면 감세 정책으로 재정 수입은 감소했다"라고 강등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재정 적자와 부채가 증가하고 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정부 부채에 대한 이자 지급도 현저히 증가했다"면서 이자 비용을 포함한 의무적 지출이 총 재정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4년 약 73%에서 2035년 약 78%로 상승할 것으로 추산했다.
무디스는 앞서 지난 2023년 11월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조정, 등급 하향 가능성을 예고한 바 있다.
앞서 3대 국제신용평가사 중 다른 신용평가사들은 이미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강등했다.
가장 먼저 S&P가 지난 2011년 미국 등급을 AAA에서 AA+로 낮췄고, 피치는 지난 2023년 8월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낮췄다.
신용등급 하향으로 미국 정부는 세계 최대 규무인 국가부채의 조달 금리가 높아지며 재정적자가 더욱 커지고 글로벌 달러화 약세도 심화되는 등, 미국의 글로벌 패권 쇠락에 가속이 붙을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