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제조업-자영업 일자리 급감. 12월 더 '아찔'
경비원 등 서민 '마지막 일자리'도 급감. 계엄사태로 위기 심화
11일 통계청의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882만1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2만3천명 증가했다.
이는 10월(8만3천명)보다는 소폭 늘면서 한 달 만에 10만명대로 올라선 것이나, 내용을 들여다보면 상황이 더 악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 도소매업, 제조업의 고용 부진이 심화됐다.
건설업 취업자는 9만6천명 줄면서 7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제조업 일자리도 5개월 연속 감소하며, 특히 감소폭이 1년7개월만의 최대인 9만5천명으로 급증했다.
아파트 경비원 등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 일자리 역시 8만6천명 줄었다. 2018년 12월(-8만9천명) 이후로 5년 11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이다. 퇴직자 등 서민들의 마지막 일자리마저 사라지기 시작했다는 의미다.
도소매업 취업자도 8만9천명 감소했다.
자영업 붕괴도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3만9천명 감소하면서 2021년 9월(-4만8천명) 이후로 3년 2개월 만의 최대 감소폭을 보였다.
'1인 자영업자'를 뜻하는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가 그동안 주로 감소세를 보였다면, 이제는 영세 소상공인 전반으로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다는 의미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에서 취업자가 29만8천명 증가하며 전체 증가세를 주도했다.
30대도 8만9천명, 50대도 7천명 늘었다.
그러나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8만명 줄었다. 지난 5월부터 7개월째 10만명대 마이너스를 이어가고 있다.
'경제 허리'인 40대도 9만1천명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15만1천명으로 5만명(0.3%) 늘었다.
육아(-8만9천명), 재학·수강(-7만8천명) 등에서는 감소했으나,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17만9천명)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