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블화 폭락, 뱅크런, 금리 폭등...러시아 '금융패닉'
푸틴의 우크라 침공에 러시아 국민들 골병. 반전여론 확산될듯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대통령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애꿎은 러시아 국민들만 벼랑끝으로 몰리고 있는 양상이다.
28일 외신들에 따르면 달러화 대비 루블화의 가치가 전 거래일보다 30%나 폭락했다. 이는 역대 최저 수준이다.
루블화 가치가 폭락하자 러시아 전역에서 자동화기기(ATM) 앞에 달러화를 인출하려는 러시아인들의 장사진을 이뤘다. 최악의 뱅크런(자금 인출사태)이 시작된 모양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대규모 인출사태를 겪고 있는 러시아 '스베르방크'의 유럽 내 자회사들이 파산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ECB가 언급한 은행은 '스베르방크 유럽'과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자회사 등 3곳이다.
유럽 은행의 회생 및 정리 업무를 맡은 단일정리기구(SRM)는 이들 3개 은행에 대해 지급유예 조치를 했고, 이들 은행을 구제할지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앞서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러시아의 장기 외화표시채권에 대한 국가신용등급을 기존 'BBB-'에서 투기등급인 'BB+'로 강등, 이같은 뱅크런 사태를 부채질하기도 했다.
금융시스템이 붕괴 위기에 직면하자 러시아 중앙은행은 이날 기준금리를 현행 9.5%에서 20%로 대폭 인상했다. 아울러 2년 만에 자국 시장에서 금 매입을 재개했다.
아울러 금융회사들에는 외국인들의 러시아 증권 매각요청을 거절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이날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보유 중인 러시아 자산을 매각할 것이라고 요나스 가르 스퇴레 노르웨이 총리가 발표하면서 전체 외국계의 대대적 자금 이탈이 예상된 데 따른 조치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아울러 이날 증권시장과 파생상품 시장을 열지 않기로 했다. 개장시 주가가 대폭락하면서 증시 붕괴가 우려된 데 따른 조치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일 러시아 주가는 장중 50% 폭락한 바 있다.
중앙은행은 이어 향후 증권 및 파생상품 거래 재개 계획을 화요일(3월 1일) 오전 9시에 공지할 예정이라고 덧붙여, 증시 개장이 무기한 늦춰질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푸틴 정권은 러시아 외환보유고가 6천400여억달러에 달하고 GDP대비 국가부채도 12%에 불과할 정도로 재정건전성이 튼실해 서방의 경제공세에 견딜 수 있다고 호언하나, 러시아 국민들은 루블화 폭락에 따른 물가 폭등과 주가 폭락에 따른 자산 손실, 살인적 고금리 등으로 생존의 벼랑끝에 몰리는 양상이어서 푸틴의 우크라 침공에 대한 국내적 반발도 급속 확산될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