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5 재보선 참패의 후폭풍이 한나라당을 강타하기 시작했다. 우선 '강재섭 지도부'에 대한 책임론이 제기됐고, 극한갈등을 계속하고 있는 이명박-박근혜에게도 직격탄이 가해졌다.
홍준표 "강재섭-정형근도 사퇴해야"
홍준표 의원은 26일 오전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우선 4.25 재보선와 관련, "이번에 화성지역만 열린우리당이 나왔기 때문에 한나라당이 반사적 이익을 누렸고 나머지는 열린우리당이 사실상 공천한 데가 없어 이번 재보선의 선거는 지지율 50%에 이르는 한나라당에 대한 심판이었다"고 규정했다. 그는 이어 "이번엔 기초단체장 선거가 우리 눈여겨봐야 될 것"이라며 "기초단체장 선거하고 기초의원, 광역의원 선거를 눈여겨봐야 되는데 당 대표가 있는 대구에서도 광역의원이 무소속에게 떨어졌다. 또 우리가 전통적으로 지지층으로 보고 있는 양천에서 참패를 했다. 경북 봉화에서도 지고"라고 강재섭 책임론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그는 "지도부가 도덕성에 치명적인 상처를 지금 입고 있다. 지도부 중에 한 분은 의협사건에서 문제가 되고 있고, 또 한 분은 과태료 대납 사건에 또 연루가 됐고..."라며 구체적으로 정형근 최고위원과 강재섭 대표를 거명한 뒤, "지도부가 지금 그냥 지도만 잘못한 게 아니고 자기 자신들이 소위 부패에 대한 혐의를 받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지도부가 도덕성을 내세워서 당 전체를 이끌고 가기가 어렵게 돼 버렸다"고 강재섭 지도부 교체론을 주장했다.
그는 또 강재섭 지도부에 대해 "대선관리지도부이긴 하나 그 사이에 한나라당 지도부가 대선주자들의 눈치만 봐 왔지 대선관리를 하지 못했다"며 "당헌당규 개정 문제, 대통령 후보 선출 과정 문제도 논의가 거의 정리된 지 한 달이 지났는데 그 규정조차도 지금 정하지 못하고 있고, 또 지금 공당에서 조직책이 한 30여 곳 이상 조직책이 비어 있는데 그것을 지금 양대 진영을 눈치 보느라고 여태 선정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다.
4.25재보선 참패로 절체절명의 위기에 몰린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 ⓒ연합뉴스
강창희, 이명박-박근혜 질타
대전 서구을 선거 총책이던 강창희 최고위원은 26일 오전 선거참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최고위원직을 사퇴하며 이명박-박근혜 양측에 쓴소리를 했다. 그는 '박근혜계' 좌장급 인사. 그런 그가 한 쓴소리였기에 의미는 컸다.
강 최고위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범여권의 지리멸렬한 분열은 우리의 방심을 키웠다"며 "특히 대선주자간의 옹색한 다툼으로 국민적 피로감이 날로 누적되고 있다"고 4.25 재보선 지원유세 과정에도 눈 한번 마주치지 않을 정도로 극단적 분열상을 노정한 이명박-박근혜 양측에 직격탄을 날렸다.
이명박-박근혜 당분간 자중
4.25 재보선 결과가 워낙 충격적으로 나타나면서 책임론이 자신들에게까지 번질 조짐을 보이자 이명박-박근혜 양 진영도 조심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명박 전 시장측은 26일 새벽 보도자료를 통해 "이명박 전 시장은 한나라당이 재보선에서 패배함에 따라 선거결과에 나타난 민심에 비판을 겸허하게 받아들여, 4월 26일 27일 이틀간 예정된 부산지역 방문일정을 전격취소하고, 이번주말로 예정되었던 사무실 여의도 이전 계획을 연기했으며, 이와 더불어 당내경선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을 잠정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전 시장측은 또 "이 기간동안에 이 전 시장은 한나라 당의 쇄신과 변화를 바라는 국민의 기대에 어떻게 부응할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근혜 전 대표 또한 재보선 참패직후 구두 논평을 통해 "최선을 다했고 유권자의 선택을 존중한다"며 "한나라당으로서는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선거였다"고 짧게 언급했다.
황우여 사무총장 등 일괄사표 제출, 그러나...
재보선 참패후 황우여 사무총장을 비롯한 임명직 당직자들은 강 대표에게 일괄사표를 제출했다. 강대표도 4.25 재보선 참패를 예상한듯 선거직전 "선거직후 당직개편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문제는 그러나 이 정도 임명직 교체만 갖고 과연 당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는 '강재섭 지도부 책임론'을 빗겨갈 수 있는가이다. 그렇다고 당 대표직을 사퇴, 당대표 선출 전당대회를 다시 치루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어서 한나라당은 당분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혼란 상태에 빠져들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더욱이 4.25 재보선 참패의 후폭풍에서 벗어나기 위해 잠시 숨을 고르는 양상인 이명박-박근혜간 갈등이 예정대로 내달 재연될 경우 한나라당은 상당한 아노미적 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