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정부, 아베 망언 비난한 美언론에 반론보도 추진
위안부 강제동원 재조사, '고노담화' 수정 추진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정권이 그의 망언을 비판하는 미국 등 해외언론에 대한 반론 보도를 추진하는 동시에, 종군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고노 담화'의 사실 관계를 재검증하기로 해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8일 <지지통신>에 따르면, 시오자키 야스히사(塩崎恭久) 관방장관은 8일 오전 기자회견에서, 종군위안부문제를 둘러싼 아베 신조 총리의 '협의의 강제성' 부정 발언에 대해 잇따라 제기되고 있는 해외언론들의 비판과 관련, "잘못된 해석에 바탕한 보도에 대해서는 반론게재를 포함해 적절하게 대응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라고 말해 일본 정부가 해외언론에 대해 반론문 게재 등을 요구할 방침을 시사했다.
일본정부의 반론보도 신청은 <뉴욕타임스> 등 아베 망언을 신랄히 질타하고 있는 미국 언론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는 동시에 미하원이 아베 망언을 계기로 내달 하순으로 예정된 아베 방미 이전에 종군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하려는 데 따른 미국내 여론 반전 노력으로도 풀이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와 동시에 종군위안부 강제동원 사실 자체를 왜곡하려는 움직임도 본격화하고 있다.
<교도(共同)통신>은 8일 복수의 정부와 여당 관계자를 인용, 아베 총리가 과거 일본군에 의한 종군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소위 '고노 담화' 전제인 사실 관계를 다시 검증하는 방향으로 검토에 들어갔으며, 재조사는 역사학자들로 구성된 유식자 기관에 맡기는 방안 등이 부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통신은 이 같은 재조사가 일본 정부가 전번 조사를 실시한지 14년이 경과하면서 '새로운 자료와 증언'이 나왔기 이라며, 재조사가 담화 수정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한국과 중국 등 관련국의 반발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자민당의 '일본의 장래와 역사교육을 생각하는 의원 모임'은 재조사를 요청하는 제언을 9일 아베 총리에 내놓을 예정으로 알려져 파문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8일 <지지통신>에 따르면, 시오자키 야스히사(塩崎恭久) 관방장관은 8일 오전 기자회견에서, 종군위안부문제를 둘러싼 아베 신조 총리의 '협의의 강제성' 부정 발언에 대해 잇따라 제기되고 있는 해외언론들의 비판과 관련, "잘못된 해석에 바탕한 보도에 대해서는 반론게재를 포함해 적절하게 대응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라고 말해 일본 정부가 해외언론에 대해 반론문 게재 등을 요구할 방침을 시사했다.
일본정부의 반론보도 신청은 <뉴욕타임스> 등 아베 망언을 신랄히 질타하고 있는 미국 언론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는 동시에 미하원이 아베 망언을 계기로 내달 하순으로 예정된 아베 방미 이전에 종군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하려는 데 따른 미국내 여론 반전 노력으로도 풀이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와 동시에 종군위안부 강제동원 사실 자체를 왜곡하려는 움직임도 본격화하고 있다.
<교도(共同)통신>은 8일 복수의 정부와 여당 관계자를 인용, 아베 총리가 과거 일본군에 의한 종군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소위 '고노 담화' 전제인 사실 관계를 다시 검증하는 방향으로 검토에 들어갔으며, 재조사는 역사학자들로 구성된 유식자 기관에 맡기는 방안 등이 부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통신은 이 같은 재조사가 일본 정부가 전번 조사를 실시한지 14년이 경과하면서 '새로운 자료와 증언'이 나왔기 이라며, 재조사가 담화 수정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한국과 중국 등 관련국의 반발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자민당의 '일본의 장래와 역사교육을 생각하는 의원 모임'은 재조사를 요청하는 제언을 9일 아베 총리에 내놓을 예정으로 알려져 파문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