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한국의 OECD 경기선행지수, 5개월 연속 하락

하반기 경기둔화 예고

한국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기선행지수(CLI)가 5개월 연속 하락했다.

그러나 한국의 CLI 자체는 12개월째 100 이상을 유지해 올해 하반기에도 경기 회복세는 지속되겠지만 그 폭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14일 OECD에 따르면 한국의 CLI는 지난 4월 103.6으로 전월의 104.2보다 0.6포인트 감소했다.

한국의 CLI는 지난해 5월 100.6로 100선을 돌파한 이래 6월 101.9, 7월 103.0 8월 103.9, 9월 104.1, 10월 105.1, 11월 105.3으로 정점을 기록한 뒤 12월에 105.2, 올해 들어선 1월 105.0, 2월 104.6, 3월 104.2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CLI는 산업활동 동향, 금융.통화 현황, 국내총생산(GDP) 흐름을 복합적으로 계산해 향후 4~6개월 뒤의 경기 상황을 예측하는 것으로 CLI가 100 이상에서 상승하면 경기 팽창, 하락하면 경기 하강을 의미한다.

한국의 지난 4월 CLI가 103.6이면서 지수 자체가 5개월째 하락했다는 것은 한국 경제가 하반기에도 여전히 강한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그 폭은 상반기보다 둔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올해 경제는 전반전인 강한 회복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회복 속도는 완만한 사선형(\)의 곡선을 그릴 것으로 보인다.

OECD의 지난 4월 CLI 평균은 104.0으로 전월에 비해 0.4포인트 늘었다. 캐나다는 104.6, 독일은 106.3, 이탈리아는 104.6, 영국은 104.8으로 한국보다 경기 확장 수준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은 한국과 같은 103.6이었다.

한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주요 5개국의 평균은 102.5였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올해 우리 경제가 강한 회복세를 보여왔으며 하반기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며 "다만 최근 각종 선행지수 지표가 보여주듯이 하반기 들어 기저효과 반감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회복 속도는 다소 둔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이 5 개 있습니다.

  • 3 0
    경기무논

    경기를 논하지 말라. 최악이다. 돈이 안돌고 투자 여력도 없다. 개인적으로도 출구전략 내지는 구조조정 해야할 판이다. 누구 탓인가? 인간 제대로 뽑아야 하는지를 뼈저리게 절감하게 될것이다. 왜 김대중,노무현이 옳았는지를 또 알게될것이다.

  • 3 0
    진실

    서브프라임사태-노정권2007년 2월경 시작된걸로 안다-각종 경제지표도 매우훌륭한 상태였고,외환보유액도 충분..그러나 747공약,청계천,경제말아먹은정권이라는 거짓이미지를 언론등이 함께외치면서 국민은 속고말았다..집권시작하며 대기업 위한 고환율정책으로인해 진짜위기가왔고 이정권이 말하는 경제살리기는 자기들이 망치고,자기들이 수습하는 형국인셈이다..

  • 4 0
    내속을태우는구려

    이게다 2Mb 때문이지......

  • 5 0
    ㅉㅉ

    경제위기 빨리극복 했다고 난리 치더니.......ㅉㅉ....국가재정만 동티 나게 생겼네.....ㅉㅉ... 이제국민들은 이자만 으로도 등골 휘어 지겠다....ㅉㅉ

  • 12 0
    쥐박멸

    간단히 해석하면, 우리나라의 경제회복이라는 숫자놀이를 위해 막대한 돈을 퍼부어 억지로 미래를 끌어왔으니, 앞으로 공백이 된 미래가 도래할 것이라는 의미다.
    이제 외국이 회복하고 있을 때, 우리는 제자리걸음 하는 거다.
    그 시기를 앞당긴 대가로, 우리 손에 빚더미가 얹혀졌을 뿐이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