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길 탄식 "한나라, 날치기 좀 매끄럽게 했어야지"
"과거 선배들 '본' 받아야", "후폭풍 어떻게 이겨내나"
김 명예교수는 이날 자신의 홈피에 올린 <더 큰 시련은 이제부터 시작>을 통해 미디어법 강행처리 당시의 아수라장을 개탄한 뒤, 우선 민주당을 향해 "대한민국이 헌법에 명시된 대로 '민주공화국'이라고 할 때 이 비극의 일차적 책임은 야당인 민주당에 있다"며 "'미디어법'이 표결이전에 상정조차 못하게 폭력으로 저지한 것은 민주주의의 기본인 다수결의 원칙을 무시했기 때문이니 입이 백 개가 있어도 변명의 여지는 없다"고 비난했다.
그는 이어 화살을 한나라당으로 돌려 "그러나 여당인 한나라당의 죄는 더 무겁다"며 "아무리 노력해도 타협이 불가능하여 '날치기' 통과밖에 없었다면 과거 선배들의 '본'을 받아 좀 더 매끄럽게 해치웠어야죠"라며 한나라당의 '날치기 기술 미숙'을 개탄했다.
그는 또 "의장은 그 자리에 왜 나오지 않았나. 박근혜 의원의 모습은 왜 보이지 않았나"라며 본회의장에 들어오지 않은 김형오 국회의장과 박근혜 전 대표를 지목한 뒤, "다수당인 여당의 '날치기' 통과는 여당의원들의 일치단결 없이는 불가능한 모험"이라고 이들을 싸잡아 비난했다.
그는 "저 야당은 저렇게 밖에 못나가지만 거대여당은 달리 나갈 수도 있었는데 두고 봅시다. 앞으로의 폭풍을 어떻게 이겨내나"라며 '매끄럽지 못한 날치기'가 몰고올 후폭풍을 크게 우려했다.
김 명예교수의 개탄은 미디어법 처리과정에 대리투표-재투표 논란이 제기되면서 헌법재판소가 '원천무효' 판정을 내릴 수 있다는 보수진영 내부의 위기감을 표출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으며, 실제로 한나라당 일각에서도 "이러다가 정말 미디어법 투표를 다시 해야 하는 거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