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태 새누리당 의원은 8일 유승민 원내대표 축출을 위한 의원총회 소집과 관련, "말하자면 회사 부장이 회장하고 잘 안 맞는다고 해 가지고 부장 나를 자를 거냐 말 거냐 가지고 회의하게 된 것"이라며 박근혜 대통령을 '회장', 의원들이 선출한 유 원내대표를 '부장'에 비유해 논란을 자초했다.
신박으로 분류되는 김진태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비유한 뒤, "그러면 만약에 뭐 당내 민주주의가 어떻다 해 가지고 부장의 손을 들어주면 회장이 회사 문을 닫아버리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며 반드시 유 원내대표를 축출해야 함을 강조했다.
김 의원 비유대로 한다면 김무성 대표는 재벌회사의 '국장' 정도가 되는 셈이고, 김 의원을 포함한 새누리당 의원들은 '회사원' 정도가 되는 셈이다.
그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유 원내대표에 대해 "잘못 알려져 있는 게 마치 무슨 대통령이 싫어해서 찍어내서 여기까지 오게 됐다, 이렇게 알려져 있는데 대통령께서 아무 말씀 하지 않으셨다 하더라도 저는 사퇴 요구를 했을 것"이라며 "왜냐하면 원내대표가 일을 너무 못해서 여기까지 온 거다. 더군다나 우리 소속 의원들을 기만을 했다. 특히 위헌성이 없다, 청와대와 조율이 다 됐다, 이런 걸 가지고 우리에게 정확히 얘기를 안 해주고 이걸 속였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라고 원색비난을 퍼부었다.
그는 또한 "당청갈등이 아니고 유-청갈등이다. 유승민 원내대표와의 갈등"이라며 "왜냐하면 이 전에 원내대표였던 이완구 대표, 그 전에 최경환 대표, 그 전에 이한구 대표 때는 아무런 당청갈등이 없었다. 개인적인 문제다, 이건"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그는 이어 "하여튼 간에 그래서 그런 문제가 있는 원내대표이기 때문에 우리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걸로 이렇게 왔는데 자꾸 청와대와 싸우는 것처럼 이렇게 해서 지금 당이 뭐 아주 엉망이 됐다"며 "오늘은 무조건 결론을 내려야 된다. 뭐 박수로 추인을 하든 표결을 하든 끝까지 결론을 내야 된다"며 반드시 금일 의총에서 유 원내대표를 축출해야 함을 강조했다.
그는 유 원내대표 사퇴시 후임 원내대표 선출과 관련해선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는데, 이제 이런 초상집 분위기에서 내가 원내대표 하겠다고 또 뭐 선거운동하기가 멀쓱하니까 추대로 했으면 좋겠다라는 게 모든 많은 사람들의 희망사항"이라며 경선이 아닌 추대 방식을 원하는 친박의 속내를 드러냈다.
그는 그러면서도 "그렇지만 그 자리가 어떤 자리냐? 지금 유 원내대표가 기를 쓰고 안 나가려고 하는 자리 아니냐?"라면서 "희망자가 많기 때문에 추대는 힘들 것 같다. 오늘 하여튼 정리되고 앞으로 어떤 분이 오더라도 지금 보다는 훨씬 나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유승민 반드시 정치사에 길이 남을 정치인이 이미 돼버렸다 ! 진태너는 주겄다 요즘 이런 소신있는 정치인 하나도 없다 여야를 떠나 유승민 같은 신념이 있는 정치인 없다 바끄네를 아주 몇마디에 개차발 맹글어 부렀다 닥털 다 뽑아버린게지 ㅎㅎㅎ 천박들 각오해라 ! 그라고 사람보는 누니 없냐 !똘박,천박,멀박, 떨박,먼박 ,맴박들아 그리고 무성아 ?
마이너가 유리천정을 깨고 파이를 나누어 먹을 처지까지 되기위해서 별의 별짓을 다하지만 역사는 증명해준다 무력으로 역성 혁명을 이루어 낸 경우가 아니면 절대로 당대는 커녕 2대는 그자리를 유지해야 사다리 제일 밑에 칸에 발이라도 얹을 수 있다는 슬픈 사실을.. 발버둥치다가 장기판의 장기알이 되거나 아니면 바둑판의 사석이 되어 버려진다
시대변화와 요구에 전혀 관심이 없는 김진태의원은 정치인도 아니다. 지금도 검사라는 골방에서 부장 지시만을 따르는 충실한 초년병 때를 벗지 못한 듯 해서 보기에 민망할 정도로 안타깝고 한심할 지경이다. 대통령을 회장, 대표를 부장 ,의원들을 직원으로 보는 수준이다. 이는 세계 토픽감이다.
무식이 도를 넘는 저능아들의 집합소 새누리당인가? 이 자가 도대체 무슨 말을 하고자 한 것인지 이해가 안된다. 무슨 말을 하고자 하는 핵심은 없고 다만 유 의원을 짤라야한다는 말 밖에 없군. 유의원을 짜르는 이유가 대체 뭔가? 자네 학벌이 초퇴냐? 뭐라고? 공안검사출신이라고??? 한국은 문제가 너무 많다. 사법부를 대대적 개혁과 재평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