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盧 "임기 채운다. 야당들 개헌 합의해야 탈당"

국민 불신여론에도 개헌 끝까지 추진 의지 분명히 해

노무현 대통령은 개헌안이 부결되더라도 중도 하야하는 일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열린우리당 탈당 의사는 없음을 밝혀, 노대통령 개헌에 대한 '정략성'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노 대통령은 11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가진 개헌 관련 기자회견에서 개헌 추진을 위한 열린우리당 탈당 가능성과 관련, "당적 문제는 야당들이 개헌의 전제조건으로 요구해온다면 고려할 수도 있다. 그런 정도로 열어놓겠다"고 말해, 사실상 열린우리당을 탈당할 생각이 없음을 드러냈다. 현재처럼 민주당 등 일부 야당만 요구할 경우에는 수용할 생각이 없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노 대통령은 또 개헌안 부결시 중도 하야 가능성에 대해 "내가 개헌안에 제 신임을 걸었을 때 그게 불신임인데, 여기에 신임을 걸지 않는다"며 "개헌안이 부결된다는 것을 (대통령)불신임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중도 하야 가능성을 일축했다. 노 대통령은 "개헌 발의권을 가진 대통령으로서 앞으로 개헌논의를 가능하게 하는 개헌을 제안하는 것은 역사적 책무라고 생각한다"면서 "대통령으로서 책무로서 이 권한을 행사한 것이기 때문에 신임을 걸어야 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노 대통령은 또 한나라당 반대에 대해 "경우에 따라서는 개헌반대 정치세력이 명분을 잃을 수도 있다"며 "때문에 국민적 지지를 통해서 입장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국민여론 반전을 기대하기도 했다.

노 대통령은 "개헌에 관한 한 한나라당에 뭐가 불리하느냐"며 "전혀 불리한 일이 없는데 '잘 가고 있는데 골치 아픈 의제들이 나와서 혹시 사고 날라' 이런 수준이기 때문이고 그런 방식으로는 오래 반대할 수 없을 것이기에 때문에 대화가 가능하다고 본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노 대통령은 4년 연임제 및 대선-총선 시기를 일치시키는 원포인트 개헌외 지역구도 타파를 명분으로 한 중-대선거구제를 개헌에 포함시킬 지 여부와 관련해선, "다른 어려운 문제는 복잡할 것"이라고 답해, 포함시킬 생각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노 대통령은 또 지난해 2월 '개헌은 내 손을 떠났다'고 말한 뒤 말을 바꾼 것과 관련, "이제 임기 1년 남겨놓고 국정을 마무리해 놓으려고 생각해보니 생각보다는 많은 국정이 비교적 마무리됐다. 아직도 많은 게 남아있는 게 사실이지만 성과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마무리할 것을 쭉 챙겨보니 역시 이 개헌 문제를 그냥 못 본 체 하고 넘어갈 수 없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정경희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