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인 88% "경제민주화 논의할 시기 됐다"
경제민주화에 거부반응 보이는 대기업과 대조적
중소기업인 10명 중 9명은 우리 사회가 이제는 경제민주화를 논의할 시기가 됐다며 정치권의 경제민주화 시동에 적극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8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5∼12일 중소기업인 300명에게 '중소기업인이 바라보는 경제민주화'를 설문 조사한 결과 88.3%가 우리 사회가 이제는 경제민주화를 논의할 시기가 됐다고 응답했다.
특히 73.0%는 경제민주화를 현재 우리 사회가 당면한 최우선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최우선 경제민주화 과저에 대해선 대·중소기업의 시장 불균형 해결이 63.1%로 가장 많았으며 납품단가 후려치기 등 대기업의 불공정 거래 개선 20.0%, 신용카드 수수료 등 불합리한 제도 개선 9.8%, 재벌 해체 또는 개혁 3.6% 순이었다.
또한 87.0%는 경제민주화 실현을 위해서 정부가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장관급 중소기업부가 신설돼야 한다는 의견도 76.0%로 높게 나타났다.
이같은 조사결과는 대기업 중심의 전경련이 경제민주화에 강한 거부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어서, 경제민주화를 둘러싼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시각차가 뚜렷함을 보여주고 있다.
8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5∼12일 중소기업인 300명에게 '중소기업인이 바라보는 경제민주화'를 설문 조사한 결과 88.3%가 우리 사회가 이제는 경제민주화를 논의할 시기가 됐다고 응답했다.
특히 73.0%는 경제민주화를 현재 우리 사회가 당면한 최우선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최우선 경제민주화 과저에 대해선 대·중소기업의 시장 불균형 해결이 63.1%로 가장 많았으며 납품단가 후려치기 등 대기업의 불공정 거래 개선 20.0%, 신용카드 수수료 등 불합리한 제도 개선 9.8%, 재벌 해체 또는 개혁 3.6% 순이었다.
또한 87.0%는 경제민주화 실현을 위해서 정부가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장관급 중소기업부가 신설돼야 한다는 의견도 76.0%로 높게 나타났다.
이같은 조사결과는 대기업 중심의 전경련이 경제민주화에 강한 거부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어서, 경제민주화를 둘러싼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시각차가 뚜렷함을 보여주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