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 "대통령 사업이니 불법해도 돼"
4대강조사단의 도로통행 불법차단, 임시물막이 붕괴 은폐
23일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낙동강 함안보 공사중인 GS건설은 21일 오후 5시경 4대강 홍수 사전 조사 차원에서 낙동강 지류·지천 일대를 조사하고 있는 김정욱 전 서울대 교수 및 박창근 관동대 교수 등 4대강사업공동조사단 20여 명의 통행을 함안보 인근 도로에서 불법으로 막았다.
문제의 함안군 칠북면 이령리 산175-3번지 도로는 평상시 주민들이 왕래하던 길이었다.
GS건설 관계자는 “주민은 되지만, 조사단은 안 된다”며 차량을 동원해 도로를 막았다. 이에 4대강 공동조사단이 “통행을 제한하는 법적 근거를 제시하라”고 하자, 이 관계자는 “이 도로는 함안보 공사를 위해 일괄 점용허가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4대강 공동조사단이 함안군에 확인한 결과 점용허가가 사실무근으로 드러나자, GS건설 관계자는 “대통령령에 의해 사업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불법 여부와 상관없이 우리들은 막을 권리가 있다”는 궤변을 늘어놓으며 통행을 계속 막았다. 현장에 출동한 경찰이 조사단을 앞뒤로 에스코트해서 통과 시킬 것을 제안했지만, “함안보 점거 위험이 있다"며 "불법에 따른 책임을 지겠다" 면서 이를 거부했다.
환경운동연합은 긴급 성명을 통해 "GS건설에게 국민과 법률은 안중에 없고, 오로지 대통령만 있는가"라고 반문한 뒤, "4대강 현장 조사단의 함안댐 인근 도로 통행을 막는 것이 명백한 불법행위임을 알면서 저지르는 것은 대한민국 법률과 국민을 무시하는 엄중한 범죄 행위이자 반사회적 행동"이라고 질타했다.
환경연합은 "대학교수가 포함된 조사단의 학술연구 행차를 폭도를 규정해 불법으로 막으면서, 불법에 따른 책임을 지겠다는 것이 과연 21세기에 있을 수 있는 일인지 개탄스러울 따름"이라며 "4대강 조사단의 행차를 극구 막은 것은 ‘도둑이 제 발 저리는 꼴’이란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지난 13일, 정부와 대림산업이 봄비에 남한강 이포댐 일부 시설이 유실된 사실을 10 여 일 동안 숨기다 4대강 조사단에 의해 드러난 바 있다"며 은폐 의혹을 제기했다.

불행히도 환경연합의 의심은 곧 사실로 드러났다. 낙동강 함안보의 공사를 위해 설치한 임시물막이가 지난 9일부터 12일사이에 내린 비로 일부 유실돼 공사가 중단된 사실이 23일 밝혀진 것.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13일 오후 1시 30분께 함안군 칠북면 낙동강 18공구의 함안보 공사 현장에서 나흘간 내린 126.5㎜의 비로 강물이 불어나면서 임시물막이의 모서리 부분 10m 가량이 유실됐다. 이 때문에 임시물막이 안에 물이 차면서 보 구조물 설치 공사가 중단됐다. 수자원공사는 이번 주 내에 물막이 시설을 보강하고 물을 빼낸 뒤 공사를 재개, 예정대로 다음달말까지 보공사를 마무리하기로 했다.
요컨대 임시물막이가 붕괴돼 물이 가득차면서 공사가 중단된 현장을 4대강조사단에게 숨기기 위해 GS건설이 불법적 도로차단 행위를 서슴지 않았음이 드러난 셈이다.
문제의 GS건설은 올 들어 4대강사업 속도전을 펴면서 4명의 노동자들이 사망하는 등 4대강 건설사 가운데 가장 많은 사고를 낸 건설사이기도 하다.
GS건설은 이번에 문제가 된 낙동강 함안보 공사장에서만 지난 3월22일 준설 철야작업 중에 1명이 익사한 것을 시작으로, 4월1일 덤프트럭 기사의 돌연사, 4월15일 준설장 지반 붕괴에 따른 포클레인 기사 사망 사고를 냈다. 또한 금강 6공구 공사장에서도 지난 4월18일 후진하던 덤프트럭에 노동자가 깔려 사망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처럼 최악의 사망사고가 잇따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GS건설은 행정당국으로부터 어떤 징계도 받지 않고 공사를 강행중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