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4대강 특위 거부시 '국민투표 서명' 돌입"
"보-준설 반대", "4대강 지류 소하천 정비해야"
박지원 민주당 비대위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와 일부언론의 잘못된 보도로 민주당이 MB식 4대강 사업에 찬성하는 것처럼 비추어졌는데 이는 절대 사실이 아니다"라며 "민주당은 대형 보와 대규모 준설로 강에 살고 있는 생명을 한순간에 파괴하는 MB식 4대강 사업에 대해 결코 찬성하지 않는다"며 기존입장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국회 내 4대강사업 검증특위 구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야3당과 함께 '특위구성촉구결의안'을 제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미경 사무총장은 한 걸음 더 나아가 "한나라당이 4대강 국회검증특위 구성을 계속 거부한다면 국민투표를 위한 서명운동을 추진하겠다"고 경고했다.
지난 4일 4대강 사업 구간 중 앞서 금강 대안을 제시했던 민주당은 이날은 낙동강, 영산강, 한강 등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 대안의 요지는 ▲보 건설과 대규모 준설 반대 ▲4대강 본류 공사가 아닌 '지류 및 소하천 정비사업' 등 금강과 마찬가지였다.
최철국 낙동강 대책팀장은 "낙동강 4대강 사업의 경우 8개의 보 설치와 준설에 약 3조8천억원이 소요되는 데 현시점에서 사업을 중단하면 약 2조8천억원의 국민 혈세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며 "또 댐건설, 자전거도로 하굿둑 증설과 같은 강 살리기에 도움이 안되는 사업들을 중단한다면 전체적으로 5조2천억원의 사업비를 절약해서 진짜 낙동강 살리기에 필요한 공단 유해물질 관리사업이나 서낙동강 지역의 수질개선 및 홍수예방 사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찬열 한강 대책팀장은 "한강 4대강 사업은 절대 보전이 필요한 수도권 2천300만 식수원인 남한강의 수질을 인공조경사업, 자전거도로, 위락시설 유치 등으로 위협하는 무지한 사업"이라며 "한강 4대강 사업의 경우 수질대책에 전체 예산의 1/3이 집중 투자되는 사업으로 사업비 절약분이 1조86억원으로 가장 적다"고 밝혔다.
강기정 영산강 대책팀장은 "영산강은 평상시 수질이 3-4급수이고, 갈수기에는 4-5급수로 본류에 대한 수질개선 투자가 49%(98-05, 물환경관리기본계획)로 다른 강에 비해 최저인 상태"라며 "대안 사업으로 수질개선 사업에 약 1조1천400억원을 집중투자해서 영산강의 심각한 수질문제를 개선하자"고 주장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