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업계들 '움찔', 자동차보험 인상률 낮추기로
MB의 대기업 질타에 인상률 대폭 낮추기로
자동차보험료를 대폭 인상하려던 손해보험사들이 이명박 대통령의 계속되는 대기업 질타에 움찔하며 인상폭을 크게 낮추기로 했다.
3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현대해상은 서민 가계부담을 줄인다는 취지아래 기본보험료 기준으로는 2.9%, 대물사고 할증을 감안한 인상폭은 4.1%로 최소화하기로 했다.
삼성화재도 인상폭을 기본보험료 기준 3.1%로 낮추기로 했다. 대물사고 할증을 감안한 인상폭은 4.5%로, 이는 지난달 삼성화재가 제시했던 6.1%보다 낮아진 수치다.
동부화재, LIG손해보험, 메리츠화재 등 다른 대형 손해보험사들과 온라인 자동차보험사들도 자동차보험료 인상폭을 당초 제시했던 6∼7%에서 크게 낮춰 3∼4%대로 최소화하기로 했다.
손보사들은 ▲자동차보험 정비요금 인상 ▲대물사고 할증 기준금액 상향 ▲손해율 상승 등 자동차보험료 인상 배경이 됐던 3가지 요인 가운데 손해율 상승분은 전혀 반영하지 않기로 했다.
손보사들은 최근 손해율이 70%대 후반까지 높아져 막대한 손실을 보고 있다며 대폭 인상의 불가피성을 추진했으나, 총체적으로는 손보사들이 큰 이익을 내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3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현대해상은 서민 가계부담을 줄인다는 취지아래 기본보험료 기준으로는 2.9%, 대물사고 할증을 감안한 인상폭은 4.1%로 최소화하기로 했다.
삼성화재도 인상폭을 기본보험료 기준 3.1%로 낮추기로 했다. 대물사고 할증을 감안한 인상폭은 4.5%로, 이는 지난달 삼성화재가 제시했던 6.1%보다 낮아진 수치다.
동부화재, LIG손해보험, 메리츠화재 등 다른 대형 손해보험사들과 온라인 자동차보험사들도 자동차보험료 인상폭을 당초 제시했던 6∼7%에서 크게 낮춰 3∼4%대로 최소화하기로 했다.
손보사들은 ▲자동차보험 정비요금 인상 ▲대물사고 할증 기준금액 상향 ▲손해율 상승 등 자동차보험료 인상 배경이 됐던 3가지 요인 가운데 손해율 상승분은 전혀 반영하지 않기로 했다.
손보사들은 최근 손해율이 70%대 후반까지 높아져 막대한 손실을 보고 있다며 대폭 인상의 불가피성을 추진했으나, 총체적으로는 손보사들이 큰 이익을 내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