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하나 합병', 다시 수면 위로?
진동수 "우리금융, 다른 회사와 합병할 수도"
진동수 금융위원장의 18일 발언을 계기로 우리금융지주와 하나금융지주가 합병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금융계에 급속 확산되고 있다.
진 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방안과 관련, "원칙적으로 (정부 지배지분을) 단순 매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시일이 너무 많이 걸린다면 다른 회사와 합병하는 것도 논의될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금융지주의 '합병' 가능성을 거론한 진 위원장 발언은 대단히 이례적이다. 정부가 최대주주인 우리금융지주 민영화는 환란 직후 투입된 공적자금 회수가 주목적이다. 때문에 지분을 매각해 돈을 회수하는 게 정상이다.
그러나 합병은 다르다. 은행간 합병은 '주식 스왑'을 기초로 한다. 과거 한일-상업, 주택-국민 등 국내의 숱한 합병이 이런 방식으로 진행됐다. 각자의 주식가치를 계산해 몇 대 몇으로 합치는 방식이다.
정부 입장에서 보면 합병은 결코 바람직한 방식이 아니다. 공적자금을 곧바로 회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합병 일정 기간후 단계적으로 지분을 매각해 돈을 회수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시기는 누구도 예측불허다. 시장 상황 등이 어떻게 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계 관심은 진 위원장이 왜 이런 '합병'을 거론했는지로 쏠리고 있다. 이와 관련, 우리금융과 하나금융을 합치려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해 하나금융측이 우리금융과의 합병 희망을 간접적으로 드러내 우리금융이 발칵 뒤집힌 적이 있다. 이때 이팔성 우리금융회장은 즉각 그 가능성을 일축, 양측간 합병은 수면 밑으로 가라앉았다.
하지만 김승유 회장 입장에서 보면, 합병은 사활이 걸린 절박한 과제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현재의 랭킹 4위로는 앞으로 금융계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며 "합병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내심 가장 바람직한 합병모델로 외환은행을 생각하고 있다. 시너지 효과가 가장 높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문제는 '돈'이다. 외환은행을 사들이기 위해선 천문학적 규모의 막대한 현찰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 하나측에게는 그만한 여력이 없다.
그렇다면 남은 차선책은 '합병'이며, 1차 대상은 민영화 계획이 잡혀있는 우리금융일 수밖에 없다는 게 금융계의 일반적 관측이다. 때문에 진동수 위원장의 '합병' 발언에 즉각 금융계는 '우리+하나' 그림을 떠올리는 것이다.
역대 합병에서도 볼 수 있었듯, 합병의 최대 장애는 누가 합병후 '수장'이 되느냐다. 우리금융의 이팔성 회장이나 하나금융의 김승유 회장 모두가 이명박 대통령과 절친한 실력자들이다. 정치 역학으로 쉽게 결정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합병이 성사되기 위해선 한쪽의 대승적 양보가 필수불가결하다는 게 금융계의 일반적 관측이다. 누가 대승적 결단을 내릴 것인가.
최근 국민금융지주 파동후 금융당국은 다른 금융지주사의 회장들에 대해서도 '장기집권'을 불허하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하고 있어, 라응찬 신한금융지주 회장 등 각 금융지주의 터줏대감들이 내심 노심초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또한 협상의 법칙에 "시간에 쫓기는 쪽이 진다"는 금언이 있다. 절박한 쪽이 불리하다는 얘기다. 누가 지금 더 절박한가.
이밖에 금융계에선 우리금융, 하나금융 같이 금융계 판도를 송두리째 뒤흔들 초대형 합병이 가능하려면 이 대통령의 힘이 셀 때 해야 할 것이란 말이 나돈다. 그렇지 않으면 각종 논란에 휘말릴 게 불을 보듯 훤하다는 것이다.
진동수 위원장의 '합병' 발언이 과연 향후 금융계에 어떤 후폭풍을 몰고 올지, 금융계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진 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방안과 관련, "원칙적으로 (정부 지배지분을) 단순 매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시일이 너무 많이 걸린다면 다른 회사와 합병하는 것도 논의될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금융지주의 '합병' 가능성을 거론한 진 위원장 발언은 대단히 이례적이다. 정부가 최대주주인 우리금융지주 민영화는 환란 직후 투입된 공적자금 회수가 주목적이다. 때문에 지분을 매각해 돈을 회수하는 게 정상이다.
그러나 합병은 다르다. 은행간 합병은 '주식 스왑'을 기초로 한다. 과거 한일-상업, 주택-국민 등 국내의 숱한 합병이 이런 방식으로 진행됐다. 각자의 주식가치를 계산해 몇 대 몇으로 합치는 방식이다.
정부 입장에서 보면 합병은 결코 바람직한 방식이 아니다. 공적자금을 곧바로 회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합병 일정 기간후 단계적으로 지분을 매각해 돈을 회수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시기는 누구도 예측불허다. 시장 상황 등이 어떻게 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계 관심은 진 위원장이 왜 이런 '합병'을 거론했는지로 쏠리고 있다. 이와 관련, 우리금융과 하나금융을 합치려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해 하나금융측이 우리금융과의 합병 희망을 간접적으로 드러내 우리금융이 발칵 뒤집힌 적이 있다. 이때 이팔성 우리금융회장은 즉각 그 가능성을 일축, 양측간 합병은 수면 밑으로 가라앉았다.
하지만 김승유 회장 입장에서 보면, 합병은 사활이 걸린 절박한 과제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현재의 랭킹 4위로는 앞으로 금융계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며 "합병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내심 가장 바람직한 합병모델로 외환은행을 생각하고 있다. 시너지 효과가 가장 높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문제는 '돈'이다. 외환은행을 사들이기 위해선 천문학적 규모의 막대한 현찰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 하나측에게는 그만한 여력이 없다.
그렇다면 남은 차선책은 '합병'이며, 1차 대상은 민영화 계획이 잡혀있는 우리금융일 수밖에 없다는 게 금융계의 일반적 관측이다. 때문에 진동수 위원장의 '합병' 발언에 즉각 금융계는 '우리+하나' 그림을 떠올리는 것이다.
역대 합병에서도 볼 수 있었듯, 합병의 최대 장애는 누가 합병후 '수장'이 되느냐다. 우리금융의 이팔성 회장이나 하나금융의 김승유 회장 모두가 이명박 대통령과 절친한 실력자들이다. 정치 역학으로 쉽게 결정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합병이 성사되기 위해선 한쪽의 대승적 양보가 필수불가결하다는 게 금융계의 일반적 관측이다. 누가 대승적 결단을 내릴 것인가.
최근 국민금융지주 파동후 금융당국은 다른 금융지주사의 회장들에 대해서도 '장기집권'을 불허하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하고 있어, 라응찬 신한금융지주 회장 등 각 금융지주의 터줏대감들이 내심 노심초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또한 협상의 법칙에 "시간에 쫓기는 쪽이 진다"는 금언이 있다. 절박한 쪽이 불리하다는 얘기다. 누가 지금 더 절박한가.
이밖에 금융계에선 우리금융, 하나금융 같이 금융계 판도를 송두리째 뒤흔들 초대형 합병이 가능하려면 이 대통령의 힘이 셀 때 해야 할 것이란 말이 나돈다. 그렇지 않으면 각종 논란에 휘말릴 게 불을 보듯 훤하다는 것이다.
진동수 위원장의 '합병' 발언이 과연 향후 금융계에 어떤 후폭풍을 몰고 올지, 금융계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