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은 공짜야. 외국인도 공짜. 유럽과 미국 등록금이 20년 전에는 같았다던데, 현재미국은 웬만해서는 사립대학은 일반인은 갈수없는 곳이라던데, 장학금이 많은대도. 대한민국 실정은?? 주지도 않은 장학금 줬다고 회계부정이나 하면서, 발전기금은 수백억씩 적립해놓고, 이해할 수 없는 사립대학들.
이기수총장이말실수를한걸까아직어려서대학교육의질이어떤지는모르지만그래도높은자리계시다고배때지가불럿나보다저말은학부모가대학등록금을못내면거지라는말로밖에들리지않는다들은바고려대는등록금최저가가5,693,600원인데모대등록금최고가가470만원이다이얘기는자기네는교육의질이최고라의대등록금이2배나차이난다고잘난체하는건가?부끄러운줄 알기 바란다.
등록금 상한제가 위헌소지가 있는건 맞는거 같은데,우리나라 등록금이 싼건 아니지. 대학총장이라는 사람이 저런말을 무책임하게 내뱉고. 이대로 가면 우리나란 별로 희망이 없다. 젊은애들은 정신 차리고 해외로 눈돌려라. 필리핀 의대 등록금 보니까 우리나라 대학 사립대 등록금 반정도더라.그렇게 해서 미국이나 유럽으로 유학가는게 낫지.
이게 어디서 사기를 치고 있어 꼭 맞는 비교는 아니지만 국민소득기준으로 비교하면 고려대학교 본교 8,402,000/Year(2009) 버클리대학 오늘자 환율 기준 17,133,200/Year 한국 1인당 국민소득대비 등록금비율 42% 미국 1인당 국민소득대비 등록금비율 32%
한국1인당국민소득 약 $17,000(2009년) 미국1인당국민소득 약 $45,000(2006년) 미국이 약 2.6배 많다. 미국기준으로 고려대학교 오늘자환율기준 21,037,747(버클리대학교 등록금대비 1.2배) 고려대학교출신 노벨상수상자:없음 버클리대학교출신 노벨상수상자:61명, 노벨상수상 재직중인 교수8명(2006년)
미국은 1인당 국민소득 5만불 수준이고 우리는 18000불 수준입니다. 1인당 국민소득에 비해서는 너무 비싼 것이죠. 그래서 큰 정치인들은 [대학등록금 반값]공약도 하는 것이죠. 며칠전 민주당도 점진적으로 [대학등록금을 지금의 절반 수준으로 낮추겠다]는 정책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대학등록금 대폭 인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