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격앙, "국민은행, 검찰에 고발하겠다"
<중앙일보>의 사전검사 보고서 보도에 격분
금융감독원은 15일 KB금융과 국민은행에 대한 사전검사 문건이 <중앙일보>에 보도된 데 강력반발하며 유출자를 검찰에 고발하겠다고 밝혀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금감원 주재성 은행업서비스본부장은 이날 오후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은행이 내부자료로 작성한 `금감원 검사 수검 일보'가 공개돼 공정하고 효율적인 검사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금감원 검사 업무의 독립성을 크게 해칠 우려가 있다"며 "금감원에서는 은행법 등 관련 법규 검토 결과를 토대로 수사 의뢰 등 법적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검찰 고발 방침을 밝혔다.
주 본부장은 또 "국민은행으로 하여금 자체 조사를 통해 내규 위반 등으로 은행 질서를 문란하게 한 것에 대해 관련 절차에 따라 징계 등의 조치를 하도록 요구하겠다"며 유출자 처벌을 요구했다.
금감원은 국민은행 직원이 지난달 실시된 국민은행에 대한 사전검사 자료를 정치권에 유출했으며, 이것이 <중앙일보>에 보도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앞서 <중앙일보>는 이날 7쪽짜리 ‘금융감독원 검사 수검일보(국민은행 작성)’를 입수, "금감원이 강정원 국민은행장 주변과 사외이사의 비리 의혹을 파헤치기 위해 광범위한 사전조사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금감원 검사역들은 지난해 12월 17일 국민은행 직원 중 전남대 MBA(경영학석사) 과정에 진학한 사람이 있는지에 대한 현황 자료를 요구했다. 전남대는 KB금융지주의 이사회 의장이자 회장후보추천위원회 의장을 맡았던 조담 교수(경영학)가 재직하는 곳이다.
또 이날 밤엔 강 행장의 운전기사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다. 올해 초 금감원은 운전기사 조사에 대한 논란이 일자 “기사 두 명을 각각 30~40분 정도 면담한 것이 전부”라고 밝혔으나 문서에 따르면 12월 17일 1차 조사 시간은 오후 7시30분~9시, 2차 조사는 오후 9시~10시15분이었다. 전체 조사 시간은 2시간45분에 달했다.
18일에도 행장의 차량에 대한 조사가 집중됐다. 금감원은 강 행장이 두 대의 차량 중 한 대를 개인 용도로 사용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부장 2명을 조사했다. 운전기사들이 조사에 늦게 나오자 경위서도 받았다. 월요일인 21일에도 금감원 검사팀은 강 행장의 두 번째 차량의 렌트 비용에 대한 자료를 요구했고, 마지막 날인 23일엔 본점 부장 2명을 대상으로 차량 관련 조사를 했다. 6일간의 사전 검사기간 중 4일에 걸쳐 강 행장의 차량 운행에 대해 조사한 것이다.
지난 2007년 국민은행의 자회사인 국민창투가 영화 제작에 15억원을 투자했다 손실을 본 것도 3일간 조사했다. 강 행장의 연임이 결정된 2007년 9월 국민은행 노조는 “실무진의 반대에도 영화 투자가 이뤄진 것은 최고경영자(강 행장)의 의지가 아니면 불가능한 것”이라며 “입장권을 6만 장이나 사들였지만, 대부분 쓰레기통으로 들어가 은행에 손실을 끼쳤다”고 주장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12월 21일 당시 영화표 구매와 관련해 담당 팀장 한 명을 조사한 데 이어, 영화 투자에 대한 법률적 검토 자료도 요구했다. 22일엔 실무 직원 2명을 조사했고, 23일에도 관련자를 다시 조사했다. 이에 대해 강 행장은 “이미 2007년 조사에서 소명이 끝난 사안”이라고 해명했다.
금감원은 이밖에도 부행장급 간부에게 사택을 지원한 내용과 은행이 고문을 둔 현황, 이사회 회의록 등도 파악했다.
금감원 주재성 은행업서비스본부장은 이날 오후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은행이 내부자료로 작성한 `금감원 검사 수검 일보'가 공개돼 공정하고 효율적인 검사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금감원 검사 업무의 독립성을 크게 해칠 우려가 있다"며 "금감원에서는 은행법 등 관련 법규 검토 결과를 토대로 수사 의뢰 등 법적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검찰 고발 방침을 밝혔다.
주 본부장은 또 "국민은행으로 하여금 자체 조사를 통해 내규 위반 등으로 은행 질서를 문란하게 한 것에 대해 관련 절차에 따라 징계 등의 조치를 하도록 요구하겠다"며 유출자 처벌을 요구했다.
금감원은 국민은행 직원이 지난달 실시된 국민은행에 대한 사전검사 자료를 정치권에 유출했으며, 이것이 <중앙일보>에 보도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앞서 <중앙일보>는 이날 7쪽짜리 ‘금융감독원 검사 수검일보(국민은행 작성)’를 입수, "금감원이 강정원 국민은행장 주변과 사외이사의 비리 의혹을 파헤치기 위해 광범위한 사전조사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금감원 검사역들은 지난해 12월 17일 국민은행 직원 중 전남대 MBA(경영학석사) 과정에 진학한 사람이 있는지에 대한 현황 자료를 요구했다. 전남대는 KB금융지주의 이사회 의장이자 회장후보추천위원회 의장을 맡았던 조담 교수(경영학)가 재직하는 곳이다.
또 이날 밤엔 강 행장의 운전기사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다. 올해 초 금감원은 운전기사 조사에 대한 논란이 일자 “기사 두 명을 각각 30~40분 정도 면담한 것이 전부”라고 밝혔으나 문서에 따르면 12월 17일 1차 조사 시간은 오후 7시30분~9시, 2차 조사는 오후 9시~10시15분이었다. 전체 조사 시간은 2시간45분에 달했다.
18일에도 행장의 차량에 대한 조사가 집중됐다. 금감원은 강 행장이 두 대의 차량 중 한 대를 개인 용도로 사용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부장 2명을 조사했다. 운전기사들이 조사에 늦게 나오자 경위서도 받았다. 월요일인 21일에도 금감원 검사팀은 강 행장의 두 번째 차량의 렌트 비용에 대한 자료를 요구했고, 마지막 날인 23일엔 본점 부장 2명을 대상으로 차량 관련 조사를 했다. 6일간의 사전 검사기간 중 4일에 걸쳐 강 행장의 차량 운행에 대해 조사한 것이다.
지난 2007년 국민은행의 자회사인 국민창투가 영화 제작에 15억원을 투자했다 손실을 본 것도 3일간 조사했다. 강 행장의 연임이 결정된 2007년 9월 국민은행 노조는 “실무진의 반대에도 영화 투자가 이뤄진 것은 최고경영자(강 행장)의 의지가 아니면 불가능한 것”이라며 “입장권을 6만 장이나 사들였지만, 대부분 쓰레기통으로 들어가 은행에 손실을 끼쳤다”고 주장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12월 21일 당시 영화표 구매와 관련해 담당 팀장 한 명을 조사한 데 이어, 영화 투자에 대한 법률적 검토 자료도 요구했다. 22일엔 실무 직원 2명을 조사했고, 23일에도 관련자를 다시 조사했다. 이에 대해 강 행장은 “이미 2007년 조사에서 소명이 끝난 사안”이라고 해명했다.
금감원은 이밖에도 부행장급 간부에게 사택을 지원한 내용과 은행이 고문을 둔 현황, 이사회 회의록 등도 파악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