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연준 "한국 등과 맺은 통화스왑협정, 내년 2월 종료"
300억달러 통화스왑, 제2 환란 극복에 결정적 기여
미국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가 16일(현지시간) 한국 등 14개국의 중앙은행과 맺은 통화스와프 협정을 내년 2월1일로 종료하겠다고 밝혔다.
미연준의 통화정책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이날 통화정책결정회의를 마치면서 발표한 성명에서 "연준의 특별 유동성공급 프로그램이 예정대로 내년 2월1일로 종료될 것"이라면서 "각국 중앙은행들과 맺은 통화스와프 협정도 내년 2월1일로 종료하기 위해 해당 중앙은행들과 협의를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리먼브러더스 사태후 대규모 외국계자금 유출로 제2 외환위기까지 우려되던 지난해 10월30일, 원화를 맡기는 대신 300억달러까지 공급받을 수 있는 통화스와프 협정을 미연준과 극적으로 체결해 위기 탈출에 결정적 계기를 마련했었다. 당초 6개월 시한으로 맺은 협정은 그후 두차례에 걸쳐 6개월, 3개월씩 연장됐다.
그후 우리나라는 외환보유고가 리먼브러더스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등, 외화유동성 위기를 빠르게 회복할 수 있었다.
미연준의 통화정책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이날 통화정책결정회의를 마치면서 발표한 성명에서 "연준의 특별 유동성공급 프로그램이 예정대로 내년 2월1일로 종료될 것"이라면서 "각국 중앙은행들과 맺은 통화스와프 협정도 내년 2월1일로 종료하기 위해 해당 중앙은행들과 협의를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리먼브러더스 사태후 대규모 외국계자금 유출로 제2 외환위기까지 우려되던 지난해 10월30일, 원화를 맡기는 대신 300억달러까지 공급받을 수 있는 통화스와프 협정을 미연준과 극적으로 체결해 위기 탈출에 결정적 계기를 마련했었다. 당초 6개월 시한으로 맺은 협정은 그후 두차례에 걸쳐 6개월, 3개월씩 연장됐다.
그후 우리나라는 외환보유고가 리먼브러더스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등, 외화유동성 위기를 빠르게 회복할 수 있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