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통운 전 사장 "MB정권 장관급에게도 유임 로비"
"충청권 출신 장관급 인사에게 로비했다가 사정기관에 포착돼 퇴임"
곽영욱(69) 전 대한통운 사장이 참여정부 실세들뿐 아니라, 현 정권의 유력인사들에게도 유임 로비를 한 정황이 포착돼 검찰이 수사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7일 <한국일보>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 권오성)는 곽씨가 지난해 초 한국남동발전 사장 재직 시절 주위 인사들에게 "현 정권 장관급 고위 인사인 A씨에게 부탁해 (정권이 바뀌었음에도) 유임하기로 돼 있다"는 발언을 수 차례 한 정황을 확인,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특히 곽씨가 실제로 정권 교체 이후에도 유임됐던 사실에 주목, 곽씨를 상대로 A씨 등에게 인사청탁을 했는지 집중 조사하고 있다. 곽씨는 이에 대한 답변을 회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곽씨는 참여정부 때인 2007년 4월 한국전력 자회사인 남동발전 사장에 임명돼 정권 교체 이후에도 유임됐다가 2008년 9월 사직서를 제출하는 형식으로 퇴임했다.
사정당국의 한 관계자는 "당시 곽씨가 A씨 등에 대한 로비 사실을 떠벌리고 다닌 사실이 한 사정기관에 포착됐다"며 "뒤늦게 이 내용이 문제가 돼 곽씨가 사퇴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곽씨가 충청권 유력인사들의 친목 모임에 적극 참석하면서 같은 충청권 출신으로 이 모임 멤버인 A씨에게 로비를 한 것으로 보고 있다. 곽씨는 이 모임에 빠짐없이 참석했을 정도로 활동에 적극적이었으며, 현 정권 출범 이후 A씨가 참석한 정례 모임을 후원하기도 했다. A씨는 마침 한국전력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검찰은 곽씨가 지난 정권 실세들을 상대로 인사 청탁을 벌인 정황에 비추어, 현 정권에서도 유임 로비를 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곽씨를 추궁하고 있다. 검찰은 유임 로비 사실이 밝혀질 경우 A씨 등을 상대로 금품 수수 여부를 조사할 방침이다.
현 정부가 출범했을 때 곽씨에게는 아직 2년 이상의 잔여 임기가 남아있었다. 그러나 남동발전이 사실상 공기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정권 교체 후 자리를 보전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그는 자리를 지키기 위해 자신과 함께 충청권 출신 친목모임 회원인 장관급 A씨에게 접근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6월 기획재정부가 내놓은 '공공기관장 선임 추진상황'자료에 따르면 곽씨는 유임된 기관장으로 분류됐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당시 유임으로 분류됐다는 것은 잔여 임기를 모두 채울 수 있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그러나 곽씨는 이후 3개월 만에 돌연 사퇴했다. A씨에 대한 인사 로비설이 한 사정기관에 포착돼 인사권자에게 보고된 것이 결정적 이유였던 것으로 알려졌다고 신문은 전했다.
7일 <한국일보>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 권오성)는 곽씨가 지난해 초 한국남동발전 사장 재직 시절 주위 인사들에게 "현 정권 장관급 고위 인사인 A씨에게 부탁해 (정권이 바뀌었음에도) 유임하기로 돼 있다"는 발언을 수 차례 한 정황을 확인,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특히 곽씨가 실제로 정권 교체 이후에도 유임됐던 사실에 주목, 곽씨를 상대로 A씨 등에게 인사청탁을 했는지 집중 조사하고 있다. 곽씨는 이에 대한 답변을 회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곽씨는 참여정부 때인 2007년 4월 한국전력 자회사인 남동발전 사장에 임명돼 정권 교체 이후에도 유임됐다가 2008년 9월 사직서를 제출하는 형식으로 퇴임했다.
사정당국의 한 관계자는 "당시 곽씨가 A씨 등에 대한 로비 사실을 떠벌리고 다닌 사실이 한 사정기관에 포착됐다"며 "뒤늦게 이 내용이 문제가 돼 곽씨가 사퇴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곽씨가 충청권 유력인사들의 친목 모임에 적극 참석하면서 같은 충청권 출신으로 이 모임 멤버인 A씨에게 로비를 한 것으로 보고 있다. 곽씨는 이 모임에 빠짐없이 참석했을 정도로 활동에 적극적이었으며, 현 정권 출범 이후 A씨가 참석한 정례 모임을 후원하기도 했다. A씨는 마침 한국전력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검찰은 곽씨가 지난 정권 실세들을 상대로 인사 청탁을 벌인 정황에 비추어, 현 정권에서도 유임 로비를 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곽씨를 추궁하고 있다. 검찰은 유임 로비 사실이 밝혀질 경우 A씨 등을 상대로 금품 수수 여부를 조사할 방침이다.
현 정부가 출범했을 때 곽씨에게는 아직 2년 이상의 잔여 임기가 남아있었다. 그러나 남동발전이 사실상 공기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정권 교체 후 자리를 보전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그는 자리를 지키기 위해 자신과 함께 충청권 출신 친목모임 회원인 장관급 A씨에게 접근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6월 기획재정부가 내놓은 '공공기관장 선임 추진상황'자료에 따르면 곽씨는 유임된 기관장으로 분류됐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당시 유임으로 분류됐다는 것은 잔여 임기를 모두 채울 수 있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그러나 곽씨는 이후 3개월 만에 돌연 사퇴했다. A씨에 대한 인사 로비설이 한 사정기관에 포착돼 인사권자에게 보고된 것이 결정적 이유였던 것으로 알려졌다고 신문은 전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