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 정두언의 '외고 폐지' 질타
학원업자 3만명 학원 문 닫고 장외집회. 정두언 "외고는 마녀"
<조선일보>는 이날자 사설 <더 많은 외고 만들고 빈곤층 자녀 기회 크게 늘려주라>를 통해 "외고가 자율형사립고가 되면 중학 내신성적이 50% 안에 드는 학생들 지원을 받아 추첨으로 신입생을 뽑게 된다"며 "우수 학생만 골라 뽑기는 어렵게 되는 것"이라며 '정두언 안'의 문제점을 비판했다.
사설은 이어 "외국어고(31개) 국제고(4개) 과학고·과학영재고(20개) 자립형사립고(6개)를 합치면 전체 일반계고교(1490개)의 4% 정도가 되고 학생 수로는 2.5%"라며 "지난 35년의 평준화 기간 동안 그나마 더 나은 교육, 국제 수준과 견줄 수 있는 교육을 향한 학생과 학부모의 갈증을 풀어줬던 것이 이들 학교"라며 외고 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사설은 "문제는 외고 입시가 사(私)교육 과열의 한 원인이라는 논란"이라며 "과열 사교육이 문제라면 그걸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나서는 게 먼저이지 다짜고짜 외고를 폐지하자는 주장부터 내놓는 것은 이 정부가 내세워온 다양한 교육, 자율 교육의 구호와도 안 맞는다"며 영어듣기시험 폐지, 저소득층 자녀에 대한 입학 쿼터, 입학사정관제 도입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중앙일보>도 이날자 사설 <외고 문제, 교육경쟁력 강화 틀 안에서 풀어야>를 통해 "평등교육을 주창한 노무현 정부의 ‘외고 죽이기’ 압박으로 곤욕을 치렀던 외고가 당시 외고 옹호론을 폈던 현 여권에 의해 다시 존폐의 기로에 내몰린 형국"이라며 정두언 의원을 정조준했다.
사설은 "여권이 외고의 숨통을 조이고 나선 것은 사교육비 경감 대책의 일환에서다"라며 "그러나 이는 번지수를 잘못 짚은 근시안적 발상"이라고 비난했다. 사설은 이어 "사교육비 문제는 부실한 공교육과 대학입시 등 교육 전반에 걸쳐 해법을 모색해야 할 사안"이라며 "그런데도 무조건 외고를 없애 사교육비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식의 접근은 사교육비 경감 효과는 보지 못하면서 수월성(秀越性) 교육만 망치는 교각살우(矯角殺牛)의 잘못을 범하는 꼴"이라고 덧붙였다.
사설은 "외고는 그간 우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월성 교육을 통해 평준화의 폐해인 학력 저하를 줄이고 교육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해 온 게 사실"이라며 "이런 외고를 사교육비 유발 등의 이유로 ‘공공의 적’으로 몰아세워 문 닫게 한다는 건 국가적 손실"이라며 외고 폐지 반대 입장을 거듭 분명히 했다. 사설은 "교육경쟁력의 요체는 좋은 학교가 많아지는 것"이라며 "외고를 없애자는 발상이야말로 한나라당이 그토록 비판했던 하향 평준화를 답습하겠다는 것에 다름 아니다"라며 거듭 정 의원을 비판했다.
한편 이날 여의도에는 학원총연합회 산하 3만여명의 사설학원 업자 등이 학원 문을 닫고 집결해 이명박 정부의 학원비 및 영업시간 통제 등을 비난하는 대규모 집회를 가진 뒤 학원규제법안에 대한 항의서한을 국회에 전달할 예정이다. 또한 경기지역 4개 외고 교장 등은 19일 긴급 회동을 갖고 외고 폐지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는 등, 정두언 의원의 외고 폐지에 대한 반발이 급속 확산되는 양상이다.
정두언 의원은 그러나 전날인 19일 KBS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마녀사냥이란 마녀가 아닌 사람을 마녀로 몰아 사냥한다는 얘기지만, 외국어고는 분명히 마녀”라며 “일부 완고한 교육 관료들이 악덕 사교육 업체 및 교육 기득권 세력과 연대해서 (외고 관련 법 개정에) 반발하는 것”이라고 맹비난하는 등, 종전 입장에서 한걸음도 물러날 생각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