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돌발영상> 후폭풍? MB취재 대폭차단
남대문시장 방문때 한팀만 허용, 박근혜 회동은 원천봉쇄
청와대는 이 대통령 내·외부 행사 풀 취재(공동취재)단의 운영과 관련, "이달 초부터 방송사 카메라(ENG)기자 두 팀(2개 방송사 4명)이 취재하던 것을 한 팀으로, 신문사 소속 사진기자 2명·통신사 사진기자 1명 등 두 명이 취재하던 것을 신문 1명·통신 1명으로 줄였다"고 15일 밝혔다.
청와대를 출입하는 카메라기자들은 실제로 이달 초부터 이 대통령이 참석하는 청와대 본관 행사에 한 팀만 출입이 허용됐고, 지난 10일 남대문 재래시장과 고추밭 방문 등 이 대통령의 외부 민생행보 때도 한 팀의 동행취재만 허용됐다.
더 나아가 16일 오전에는 이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 간 회동 때 아예 단 한 명의 기자나 사진기자, 카메라기자의 취재도 허용하지 않았다. 청와대는 회동 전날 저녁 "16일 행사는 비공개이며 사진과 영상은 청와대 전속이 제공하겠다"고 일방통고했다.
이에 청와대 신문, 방송, 카메라, 사진 기자단 간사 4명은 16일 오전 이상휘 춘추관장을 만나 사전협의 없이 오프닝 취재마저 차단한 데 대해 강력 항의했으나 별무소득이었다. 이날 국민이 접한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 간 회동 모습은 모두 청와대가 찍어 공급한 것이다.
문제는 이같은 이 대통령 취재 대폭차단이 자칫 일방적 정보나 이미지의 공급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더욱이 민주노동당이 지난 10일 이 대통령의 남대문시장 방문 때 모여든 2천여명에 대해 '동원' 의혹을 제기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이같은 오해를 사전에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여러 언론사에 취재를 허용해야 하며 특히 풀 취재단을 구성하더라도 보수-진보언론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 출입기자단 일각에서는 이 대통령 취재 대폭차단이 YTN <돌발영상>이 앞서 이 대통령의 이문동 시장,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참다래농장 방문을 다루며 세 차례에 걸쳐 현장에서 촬영한 동영상을 토대로 신랄한 비판을 가한 데 따른 후속조치가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 출입기자단은 청와대의 일방적 조치에 대해 기자들의 의견을 물어 대응한다는 방침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이상휘 춘추관장은 이에 대해 본지에게 "이제 집권 2년차가 되다보니 행사라는 게 비슷비슷해서 방송이 두 팀이나 따라갈 필요가 없다"며 "의전, 경호 문제도 있고, 그래서 한 팀으로 줄이자고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또 이대통령, 박근혜 전 대표 회동때 취재가 원천봉쇄된 데 대해선 "방송 카메라나 카메라가 빠진 건 오늘 행사가 모두 발언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고 통상적인 그림 밖에 나올 것이 없었다. 그래서 우리 전속 카메라로 찍고 줘도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