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는 8일(현지시간) 북한이 개성공단 가동을 잠정 중단하겠다고 선언한 데 대해 유감을 표시했다.
패트릭 벤트렐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개성공단에는 5만명 이상의 북한 주민들이 일하고 있다"면서 "이를 폐쇄한다면 유감스러운 일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벤트렐 부대변인은 특히 "개성공단 폐쇄는 경제와 주민들의 삶을 개선하겠다는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안된다"면서 "이런 방향을 고집한다면 유감스러운 행동이 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 문제에 대해 우리는 한국과 긴밀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의 추가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서는 정보사안을 공개적으로 언급할 수 없다고 전제한 뒤 "추가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직접 위반하는 것으로 압박과 고립을 심화할 것"이라면서 "따라서 이런 행동을 중단할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는 원론적인 답변을 내놨다.
이어 벤트렐 부대변인은 북한에 미국 시민이 얼마나 체류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정확한 숫자를 알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은 평양에 (미국) 대사관이 없기 때문에 모든 업무는 스웨덴을 통해 한다"면서 "미국 국민에게 (북한 여행) 등록을 권고하지만 믿을만한 (체류자) 통계는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등록한 미국 시민이 (북한에) 있다"면서 "인도주의 사업을 하는 이들이 자주 드나든다"고 말했다.
벤트렐 부대변인은 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북한에 대해 '경고 메시지'를 보낸 데 대해 "우리는 중국 측에 북한에 대해 도발적 언사와 위협을 중단하도록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면서 "북한이 의무를 준수하도록 만들기 위해 중국, 러시아 등과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중국은 북한과 경제적, 외교적, 역사적 연계성을 바탕으로 고유한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존 케리 국무장관이 중국 방문 기간 북한 문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시 주석은 하이난(海南)성 싼야(三亞)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어느 일방이 자신의 개별적 이익을 위해 지역이나 세계를 혼란에 빠뜨려서는 안 된다"고 밝혀, 북한을 압박한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낳았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도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는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의) 도발적 언사와 위협을 제지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데 대해 환영한다"고 말했다.
카니 대변인은 "북한이 국제의무를 준수하도록 하기 위해 중국, 러시아 등과 협력할 것"이라면서 "이 지역의 안정은 역내 모든 국가의 이익과 관련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2006-2025 Views&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