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돈 중앙대 법대교수는 "'박근혜'하면 '신뢰와 원칙'이 떠오르는 게 아니고 '불통'과 '깜깜이'라는 말이 떠오르면 어떡하나"라며 박 당선인의 최근 행보에 대해 탄식했다.
1일 <국제신문>에 따르면, 새누리당 비대위원을 역임한 이 교수는 전날 <국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불통' '깜깜이'가 보편적인 말이 되어버렸다는 것이 걱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한번 그런 딱지가 붙어버리면 이미지를 바꾸기가 굉장히 어렵다"며 "도대체 누구랑 인사를 상의하는지 알 수가 없다. 보안도 중요하지만 어느 정도 예측성이 있고 국민적 공감대가 필요하다"고 깜깜이 인사를 비판했다.
그는 당선인으로서는 낮은 박 당선인 지지율을 거론하며 "인수위 때문에 내려간 것이다. 인수위가 국민기대에 부응하는 감동적인 메시지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인수위는 이를 해결할 능력이 없다"며 "그런데도 김용준 인수위원장이 다시 TV에 얼굴을 내비치면 지지율이 어떻게 되겠나"라고 김 위원장을 질타했다.
그는 친박에 대해서도 "현역의원들이야 몇명 되지도 않지만 더 이상 챙겨줘야 할 이유도 없지 않나. 친박은 탁자에 비교하면 4개의 다리 가운데 하나일 뿐"이라며 "필요는 하지만 없다고 쓰러지지는 않는다. 그런데 얽매이다 보면 정치쇄신의 약속을 지키지 못하게 된다"고 우려했다.
그는 "박 당선인은 친구가 없이 살아왔고, 동료가 없다. 정치를 하면서 생사를 같이할 정도의 동지가 없었기 때문에 의견을 나눌 폭이 그만큼 좁다고 할 수 있다"며 "'박근혜 리더십'의 전례없는 위기가 온 것으로 볼 수도 있다"고 심각한 위기감을 토로했다.
그는 이어 "그런데 문제는 이에 대한 극복방안을 협의할 사람도 없다는 것이다. 결국 또 혼자 고민해야 한다는 게 문제"라며 "소위 말하는 측근들은 '버틀러(butler·집사)' 정도의 사람들이다. '노'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들이 없다는 것이 당선인에게 제일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박 당선인의 위기 돌파 해법으론 "총·대선 때 내걸었던 캐치프레이즈, 즉 시대정신인 경제민주화와 복지 및 일자리 등 3가지에 대해 가시적인 정책으로 국민들에게 믿음을 주는 것"이라며 "그런데 여당 내에 지금 쇄신과 개혁의 주체가 보이지 않는다. 당내에 쇄신과 개혁의 아이콘이 없지 않나. 개혁세력이 당내에서 앞장서야 하는데..."라고 탄식했다.
그는 "결국은 조각 때 어떤 사람을 앉히느냐가 중요하지 않겠느냐. 쇄신과 개혁에 방점이 찍힌 사람이 들어가면 의지가 있는 것이고, 의지가 없으면 결국 중간에 있는 사람들은 떠나지 않겠나"라며 "결국 판단은 국민들이 하게 되는 것"이라며 개각이 최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Copyright ⓒ 2006-2025 Views&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