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은 20일 야당의 정권심판에 대해 "오히려 그들이 심판대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민주통합당 심판론으로 맞받았다.
박 위원장은 이날 오전 광화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야당은 지난 정부 때 추진했던 것을 전부 말을 뒤집고 있는데,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고 지난 정부에서 국민을 위해 필요한 일이라고 추진해놓고 이제는 아니라고 하면서 어떻게 심판할 수 있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더 나아가 "현재의 야당이 새누리당의 심판 주체라고 보지 않는다"며 "그분들 스스로 자신을 '폐족'이라고 부를 정도로 국민 심판을 받은 분들인데 그분들이 다시 모여 지난 정권에서 추진했던 정책에 대해 계속 말을 바꾸는 것, 이것이야말로 심판의 대상이 되는 게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특히 한미FTA 폐기 논란과 관련, "노무현 정부 시절 이것을 처음 추진했는데 그때에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고 지금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면서 "한미FTA가 발효돼 실생활에 효과가 퍼지게 되면 많은 분이 지지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찬성 입장을 재차 분명히 했다.
그는 또 "지금 새누리당이 새롭게 거듭나고 있다"면서 "과거의 잘못과 완전히 단절하고 새로 태어나기 위해 과감한 쇄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MB 탈당 논란과 관련해선 "역대 정권 말기마다 대통령이 탈당하는 일이 반복되지 않았나"라며 "탈당을 해서 그것이 과연 해답이 되겠는가"라고 부정적 입장을 나타냈다. 그는 "대선을 위해 인위적으로 (MB와의 단절을) 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며 "인위적인 결별이 아니라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보수연대 필요성에 대해서도 "추구하는 가치와 방향이 같으면 얼마든지 같이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같이 하는 게 바람직하지 않은가 생각하는데 구체적인 방법이나 일정은 좀 더 협의나 논의를 해야 할 상황이지 지금 명확하게 어떻게 될 것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더이상의 구체적 언급을 피했다.
그는 공천 탈락자들의 이탈에 따른 보수분열 가능성과 관련해선 "국민이 보기에 이것이 정말 무리한 공천이라든가 잘못된 공천이라고 하면 모르지만, 원칙과 기준에 따라 국민의 눈높이에 맞춘 공천이 된다면 별로 그것이 큰 역할을 못할 것으로 본다"고 일축했다.
그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와의 연대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선 "같이 할 수 있으면 좋다고 생각한다"면서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웃으며 답했다.
그는 신공항 논란과 관련해선 "신공항 문제와 관련해서는 이것이 현 정부에서 완전히 폐기한 정책이다. 그런데 저는 이것이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앞으로 꼭 필요한 인프라라고 생각하기에 다시 추진하겠다고 말씀을 이미 드렸다"고 재추진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그러나 신공항 입지에 대해선 "그렇기에 신공항에 대해 앞으로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넓혀나가는 게 우선이지 입지 문제 이런 걸 가지고 다툴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며 "입지 문제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전문가에게 맡길 것"이라고 즉답을 피했다.
그는 저축은행 피해자 구제 특별법 논란과 관련해서도 "저축은행(특별법)과 관련해서는 여러가지를 고려해서 지금 법사위에서 논의 중"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그는 정수장학회 논란에 대해선 "2005년 이사장직을 그만둔 후로 저와는 관련이 없다. 이 문제와 관련해선 정수장학회에서 분명한 입장표명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자신과의 무관성을 거듭 주장했다.
그는 문재인 노무현재단이사장이 정수장학회를 '강탈한 장물'이라고 비난한 데 대해서도 "정수장학회는 사회적 공익재단"이라며 "노무현 대통령 시절 노무현 대통령이 직접 나서 장물이라면서 모든 권력이 나서 이것을 어떻게 해보겠다고 했었는데 결국 사실이 아니라고 밝혀진 것으로 안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대세론과 관련해선 "지지율이란 것은 오르기도 내리기도 하는 것"이라며 "대세론이 원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거기에 안주할 수가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Copyright ⓒ 2006-2025 Views&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