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소 하청기업에 대한 대기업의 불공정 하도급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30대 그룹이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 사업에 올해 1조3천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실제 기업현장에서는 대기업들이 유가급등과 환율 하락 등으로 인한 적자를 중소기업에 떠넘기고 하청업체의 희생을 강요하는가 하면 대기업의 정규직을 분사시켜 비정규직 하청업체로 운영하는 등 횡포가 비일비재한 상황이어서 이들 대기업들의 약속이 어느 정도 이행될 지는 좀더 지켜볼 일이다.
제조업 위주에서 유통.에너지 등 다른 업종으로 확대
산업자원부는 24일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열린 대.중소기업 상생협력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상생협력 정책평가 및 향후 과제를 보고했다.
회의에는 정부측에서는 한명숙 국무총리, 정세균 산업자원부장관, 이상수 노동부장관, 권오승 공정거래위원장 등이, 기업측에서는 이건희 삼성 회장, 구본무 LG 회장, 최태원 SK 회장, 강신호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등 대기업 회장과 경제단체장, 중소기업인 등 4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기업은 삼성, 한전, 현대차, SK, LG, 롯데, 포스코, KT, 지에스, 한진, 현대중공업, 한화, 금호아시아나, 하이닉스, 동부, 현대, 신세계, 엘에스, 대림, 지엠대우 등 대기업 20개사와 자화전자, 케이블렉스 등 중소기업 2개사였다.
정세균 산자부 장관은 이날 보고를 통해 “상생협력의 지속적인 확산을 위해 범위를 10대 그룹에서 30대 그룹으로, 대기업과 1차 협력업체간 협력에서 2차 협력업체로 확대하고 제조업 위주에서 유통.에너지 등 다른 업종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30대 그룹은 올해 상생협력에 작년보다 31% 증가한 1조3천6백35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이중 10대 그룹의 투자액은 1조1천3백69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