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6일 순방 기간 불거진 '욕설 논란'에 대해 "사실과 다른 보도로서 동맹을 훼손하는 것은 국민을 위험에 빠뜨리는 일"이라고 반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에 취재진의 질문에 "논란이라기보다는…"이라며 이같이 답했다.
그러면서 "그와 관련한 나머지 얘기들은 먼저 이 부분에 대한 진상이라든가 이런 것들이 더 확실하게 밝혀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앞서 김은혜 홍보수석이 "국회에서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바이든이 쪽팔려서 어떡하나"라고 윤 대통령이 말했다는 보도는 미국국회가 아닌 우리 국회를 가리킨 발언이며 '바이든'이 아닌 '날리면'이라고 말했다고 해명한 것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그러나 우리 국회라 할지라도 '이 XX'라는 욕설을 사용한 데 대해 유감 표명 등 아무런 사과도 하지 않아 논란은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또한 '진상 규명'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은 문제의 욕설 동영상과 뉴스를 첫 보도한 MBC에 대한 강한 의구심을 표명한 것이어서 후폭풍을 예고하고 있기도 하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전세계 2~3개 초강대국을 제외하고 자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자국의 능력만으로 온전하게 지킬 수 있는 국가는 없다"며 "그래서 자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에는 동맹이 필수적"이라며 해당 보도가 한미동맹을 훼손시켰음을 강조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더불어민주당이 '굴욕외교'라고 비판한 한일정상회담에 대해서도 "한일 관계는 한번에, 한술에 배부를 수 있는 관계가 아니다"며 "지난 정부에서 한일관계가 많이 퇴조했고, 일본내 여론도 있고 우리 국민 여론도 있고 양국 국민 생각 잘 살펴가면서 무리 없이 관계정상화를 해야 된다"고 반박했다.
이어 "무엇보다 한국과 일본의 기업들이 정상화를 간절히 바래 한일관계 정상화 되면 상호투자함으로서 아마 일본과 한국 양쪽에 일자리가 늘고 도움이 될 것"이라며 "그래서 앞으로 어떤 어려움 있더라도 한일관계정상화를 강력히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 '48초간' 한미정상간 회동에 대해선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문제는 제가 버킹엄 리셉션에 가보니 100여개국 이상 모이는 자리에서 미국 대통령이 장시간을 잡아서 뭘 한다는 것이 어려울 것 같아 무리하게 추진하지 말라고 했다"면서 "NSC 베이스에서 디테일하게 논의해서 바이든 대통령과는 최종 컨펌하자고 했고 우리 입장을 바이든 대통령이 충분히 이해했다. 긍정적 방향으로 우리 기업에 불이익이 가지 않도력 협의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2006-2025 Views&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