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사립학교인 대경상업고 김형도 교사가 자신이 국정교과서 집필진이란 사실이 들통나면서 파장이 일자 서둘러 필진에서 중도사퇴했다.
10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기관지 <교육희망>에 따르면, 김 교사는 지난 8일 이 학교 교원들에게 보낸 A4 용지 3장 분량의 집단 메시지에서 ‘(집필 관련) 1월부터 13개월간 역사교과서를 함께 쓰게 됐다. 저 말고도 46명과 어떻게 생활해야 할지 모르겠다. (집필진이) 모이면 (국편이) 얼마나 비밀을 강조하는지 질릴 정도’라는 취지의 글을 보냈다.
그는 메시지 말미에 'さよなら'(사요나라)라고 일본어로 작별인사를 하기도 했다.
이 메시지를 직접 읽은 한 교사는 “친일·독재 미화 의심을 받는 국정 역사교과서 집필진으로 뽑힌 사람이 공개 메시지에 일본말로 끝나는 인사말을 적어놔서 기가 막히고 화가 났다”고 전했다.
문제는 이 교사가 국사 전문가라 아니라는 사실이다.
교직생활 10년차인 김 교사는 9년 동안 이 학교에서 <상업> 관련 교과를 가르쳐오다 올해 처음으로 1학년 4개 반의 <한국사>교과도 함께 맡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학교 공식 홈페이지도 ‘교직원 소개’란에서 김 교사의 담당 교과를 ‘상업’으로 적어놓고 있다. 그는 서울의 한 대학원에서 역사 관련 박사 논문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교사는 <교육희망>의 ‘스스로 집필진에 공모를 했느냐, 초빙을 받은 것이냐’는 물음에 “(국편이) 비밀로 하라고 했기 때문에 말할 수 없다. 나중에 말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김 교사는 ‘집필진이 다 모여서 임명장을 받았느냐, 또 전체가 모이느냐’는 물음에 “그렇다”고 덧붙였다.
480개 역사교육단체 등이 모인 한국사국정화저지네트워크의 방은희 사무국장은 “몇 십년간 역사를 가르쳐온 현장교사들이 수두룩한데 이제껏 상업과목을 가르치다 역사과목을 가르친 지 겨우 몇 개월 밖에 안 되는 교사가 역사교과서를 집필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면서 “밀실에서 ‘복면집필’을 하려다보니 검증도 안 된 사람들로 집필진이 채워지는 것 아닌가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방 국장은 “학생들이 실험 대상이냐? 이런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라도 교육부는 집필진을 당장 공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보도후 파문이 일자 김 교사는 즉각 집필진에서 물러나가겠다는 뜻을 밝혔고 국사편찬위원회는 이를 신속 수리했다.
국편은 "집필진 공모에 응해 선정된 김형도 교사가 자신으로 인해 교과서 편찬에 지장을 줄 수 있다며 사퇴하겠다는 뜻을 전해와 이를 존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Copyright ⓒ 2006-2025 Views&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