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측은 27일 기초 무공천을 고수해 지방선거에서 참패할 경우 안철수 공동대표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당내 주장에 대해 "과도한 얘기"라고 일축했다.
안 공동대표측 이계안 최고위원은 이날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반발하며 "물론 지금 저희 정당원들이 기초단체장 등과 의회 의원들에 대해서 공천을 하지 않음으로써 탈당을 해야 되는 어려운 결단해야 되는 것은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당론이라는 것이 누구 한 사람이 정한 것이 아니라, (과거 민주당이) 전 당원 투표제에서 결정된 사항이고, 또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전 국민께 한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무공천을 하더라도 기초선거에 출마한 특정후보들을 공식지명해 지원하는 절충안에 대해서도 "일선에서 뛰시는 여러 후보님들의 고충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그게 공천을 하지 않는다는 것과 공천한다는 것에 대해서 어느 쪽에 끼겠나? 공천을 하려면 아예 떳떳하게 하는 것이지, 그렇게 해서 할 수는 없는 것 아니겠나"라고 일축했다.
진행자가 이에 '독자노선 걷겠다, 백년 가는 정당 만들겠다, 야권연대는 절대 없다, 광역후보 모두 다 내겠다, 이런 말들에 대한 약속을 지키지 않았잖나'고 힐난하자, 이 최고위원은 "그런 비난을 받을 구석이 많이 있다. 그런 점에 대해서 국민들 앞에 죄송하다는 말씀 올린다"면서도 "저 자신이 작은 약속을 깼던 것은 분명하고 그거에 대해서 굳이 국민께 용서를 구하면서. 제가 청하는 것은 더 큰 정치를 위해서 저희들이 작은 것을 잃은 것에 대해서 널리 이해해주시기를 소망한다"고 말했다.
진행자가 이에 다시 '약속에도 작은 약속이 있고 큰 약속이 있냐'고 되묻자, 이 최고위원은 "분명히 그렇다. 지금 문제가 우리가 독자노선을 걸었을 때 우리가 국민이라는 측면에서, 또 민생이라는 측면에서 우리가 겪게 될 여러 가지 큰 어려움을 생각하면 새정치연합이 생각한 약속보다 더 큰 약속이 있다고 저희들은 보았다"고 답했다.
진행자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패하면 책임론이 불거질 것 같다'고 다시 추궁하자, 이 최고위원은 "출범하는 첫날 그 말씀을 드리긴 참 어렵지만서도 최선을 다해서 6.4선거에 임해야 한다는 그런 명령으로 알고 열심히 하겠다"고 답을 피했다.
안철수 공동대표측은 이처럼 지방선거에서 참패해도 책임질 생각이 없음을 분명히 했으나, 당내에선 벌써부터 선거 패배시 책임론이 불거져 나오고 있다.
경기지사 예비후보인 김창호 전 국정홍보처장은 이날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정치윤리 중 가장 중요한 게 책임정치"라며 "이 엄중한 선거에 여러 가지 예측되는 결과를 놓고 우리가 올바른 선택을 하지 못하면, (그를) 선택하지 못한 지도부는 어떤 식으로든 정치적으로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통합 과정에서 이것을 전제조건으로 해 됐다고 하지만, 이 전제조건은 당원들의 합의를 구한 게 아니라 김한길‧안철수 두 분이 합의한 것일 뿐"이라며 "당원들의 의견과 상관없이 두 지도부의 입장만을 말하면 지도부의 선택에 어떤 결과가 나오든 책임과 성과가 다 두 분에게 귀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2006-2025 Views&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