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수 전 국방 "4.3은 명백히 좌파 무장폭동"
"일부 민간인 피해는 폭동진압때 불가피했다"
제주도민들의 강력 반발에도 불구하고 국방부에 이어 전 국방장관까지 가세함으로써 파문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김 의원은 이 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국방부가 참여정부 당시에도 '제주 4.3사건'을 '좌익 폭동'으로 규정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국방부가 4.3사건에 대한 평가가 좌익 성향 위주로 돼 있다는 판단에 따라 국무총리 소속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에 객관적인 평가가 이뤄졌으면 좋겠다는 취지의 공문을 올해 초 보낸 바 있다"며 "국방부의 `좌편향 수정' 요청 시점이 참여정부 임기가 끝나기 직전이어서 새 정부로 바뀌기 전까지 위원회로부터의 회신은 없었다"고 밝혔다.
그는 "4.3사건에 대한 노무현 대통령의 생각에 국방부는 의견을 달리했다"면서도 "하지만 그 의견을 노 대통령께 직접 말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은 모든 상황을 감안해 그런 조치를 취할 수 있겠지만, 국방부는 안보책임기관으로서 의견을 달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4.3사건은 명백히 좌파에 의한 무장폭동"이라며 "군경에 의한 일부 민간인 피해는 인정하지만 그것은 폭동 진압과정에서의 불가피한 사고였다. 그것 때문에 모든 것이 왜곡돼선 안된다"며 전체 사망자의 80%에 달하는 민간 부녀자 피해를 '불가피한 일부 민간인 피해'로 일축했다.
그는 "4.3사건에 대한 정부 평가가 민간 피해자 진술 위주로 돼 있고, 비록 그 분들의 말이 부분적으로는 맞지만, 군경은 선량한 민간인을 제압하러 간 것이 아니지 않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그는 또 "전교조 중심의 좌편향된 교육을 확실히 바로잡아야 한다"며 "그런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군에 오면 어떻게 될 지도 생각해볼 문제"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지난 4월 총선 직전 민주당과 한나라당을 오가다가 결국 한나라당 비례대표에 신청 금배지를 달았다. 그는 특히 한나라당 비례대표설이 나돌던 당시 "나는 참여정부 사람"이라며 '불사이군(不事二君)'하겠다"고 공언했다가 며칠도 지나지 않아 곧바로 한나라당에 입당해 빈축을 사기도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