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실질소득 2분기 연속 감소...2분기 GDP 3%대 급랭
물가폭등으로 국민소득 줄고, 수출에도 적신호 켜져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속보치)'에 따르면, 교역조건 변화를 반영한 2분기 실질국내총소득(GDI)은 전기보다 0.1% 줄어들면서, 2분기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1분기에도 실질국내총소득은 -0.1%를 기록했었다.
또한 작년 동기 대비 증가율 역시 0.4%에 그치면서 2009년 2분기 이후 2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물가 폭등에 따라 실질 국민소득이 반년째 줄어들고 있다는 의미다.
1분기 GDP 성장률도 작년 동기 대비 3.4% 증가에 그쳤다. 이는 작년 3분기의 1.0% 이후 1년9개월만에 최저 수준이다.
GDP 성장률은 작년 2분기 7.5%로 정점을 찍은 뒤, 3분기 4.4%, 4분기 4.7%, 올해 1분기 4.2% 등 완연한 하강세를 보여오다가 결국 3%대로 주저앉았다.
전기 대비 성장률도 0.8%에 그치면서 전분기의 1.3%보다 낮아졌다.
경제성장률 급랭의 주요인은 수출 증가세 둔화였다. 원화가치가 강세를 띄고 세계경기가 다시 침체기로 접어든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지출 측면에서 수출은 작년동기대비 증가율이 10.2%에 그쳐, 전분기의 16.8%보다 둔화됐다.
건설투자도 8.6% 감소, 1년째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하면서 성장률 하락에 일조했다.
2분기 성장 둔화세는 실제로 대기업들의 2분기 수익이 급감하고 있는 것을 통해서도 입증되고 있어, 외형상 한국경제 성장을 견인해온 수출전선에도 경고등이 켜진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