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비니 "더블딥 가능성, 40%로 높아져"
"주가 폭락하고 글로벌 금융경색 올 수도"
'닥더 둠' 누리엘 루비니 미 뉴욕대 교수가 미국의 더블딥 가능성을 40%로 높여 잡았다.
25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루비니 교수는 “3분기 미국 성장률이 1%를 크게 밑돌 것”이라면서 3분기 성장률을 0~0.7%로 추정했다. 이는 종전에 하반기 성장률을 2%로 잡았던 것보다 크게 낮춘 수치다.
그는 또 "미국 경제가 다시금 침체에 빠져들 더블딥 가능성이 40%로 높아졌다"고 밝혔다. 종전에 그는 더블딥 가능성을 25%로 봤었다.
그는 이와 함께 “미국 정부가 올해 2분기 성장률을 하향 조정할 것이며 기껏해야 연율 기준 1.2%밖에 안 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27일 수정치를 발표할 예정인 미국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2분기 성장률 잠정치는 2.4%였다. 그러나 이후 발표된 고용 등 경제지표가 예상에 크게 못 미치자 최근 투자은행들은 잇따라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하고 있다.
그는 앞으로 미국 경제에서 “가장 최상의 시나리오조차 가계 정부 금융기관이 모두 수년 동안의 고통스런 채무재조정 기간을 거치며 U자형 회복을 하는 것”이라며 “1%대나 그 이하의 성장률이 계속되며 주식시장은 급격한 조정을 거칠 것”이라며 주가 폭락을 전망했다.
그는 또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위험회피 경향이 급증하고 일부 신용경색도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실물경제와 자산시장에서 이러한 악순환이 나타나면 경제는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가리키는 진짜 더블딥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25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루비니 교수는 “3분기 미국 성장률이 1%를 크게 밑돌 것”이라면서 3분기 성장률을 0~0.7%로 추정했다. 이는 종전에 하반기 성장률을 2%로 잡았던 것보다 크게 낮춘 수치다.
그는 또 "미국 경제가 다시금 침체에 빠져들 더블딥 가능성이 40%로 높아졌다"고 밝혔다. 종전에 그는 더블딥 가능성을 25%로 봤었다.
그는 이와 함께 “미국 정부가 올해 2분기 성장률을 하향 조정할 것이며 기껏해야 연율 기준 1.2%밖에 안 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27일 수정치를 발표할 예정인 미국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2분기 성장률 잠정치는 2.4%였다. 그러나 이후 발표된 고용 등 경제지표가 예상에 크게 못 미치자 최근 투자은행들은 잇따라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하고 있다.
그는 앞으로 미국 경제에서 “가장 최상의 시나리오조차 가계 정부 금융기관이 모두 수년 동안의 고통스런 채무재조정 기간을 거치며 U자형 회복을 하는 것”이라며 “1%대나 그 이하의 성장률이 계속되며 주식시장은 급격한 조정을 거칠 것”이라며 주가 폭락을 전망했다.
그는 또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위험회피 경향이 급증하고 일부 신용경색도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실물경제와 자산시장에서 이러한 악순환이 나타나면 경제는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가리키는 진짜 더블딥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