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내 '대북 쌀지원' 급부상, '천안함 출구'?
이재오, 안상수, 유정복, 昌 주장. 민주당도 "환영한다"
이재오 특임장관 내정자도 23일 인사청문회에서 대북 쌀지원과 관련, "신의주에 물난리가 나서 사람들이 많이 죽었다고 하는데 인도적 차원에서 지원을 생각해야 한다. 인도적, 정치적 차원은 구분해 생각해야 한다"며 "추석도 가까워 온 만큼 인도적 차원에서 쌀 지원문제를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내정자도 이날 인사청문회에서 "국내 쌀 재고 (해소) 차원의 문제도 있지만, 인도주의적이고 남북간 화해.협력 측면에서 충분히 검토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쌀 지원 찬성 입장을 밝혔다.
이회창 자유선진당 대표 역시 이날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지금 북한은 300mm 이상의 집중호우로 신의주를 비롯한 압록강 하구 곡창지대가 물에 잠기는 등 수재피해가 막심한 것으로 알려졌고 북한의 다른 지역에서도 수해가 있는 것으로 보도되었다"며 "북한 주민이 입을 재난에 대한 인도적 지원으로 남한의 재고량이 넘치는 쌀을 지원하는 방안을 정부는 강구해야 할 것"이라며 대북 쌀지원을 주장했다.
앞서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는 지난 22일 당정청 9인회의에서 ▲북한의 수해로 식량난이 가중되고 있는 점 ▲우리 쌀 수매철이 다가온 만큼 재고관리가 필요한 점 ▲대북 인도지원을 통해 경색 중인 남북관계의 대화의 물꼬를 틀 수 있는 점 등을 들며 쌀 지원 재개 검토를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같은 정부여당 및 보수야당의 대북 쌀지원 재개 주장에 대해 통일부는 "현재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쐐기를 박았으나, 천안함 출구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절감해온 여권내 분위기는 대북 쌀지원 재개 쪽으로 흐르기 시작한 양상이다.
박지원 민주당 대표도 이날 비대위 회위에서 "이명박 정부에서 대북 쌀지원을 검토한다는 보도가 나왔다"며 "우리는 환영한다"고 반색했다.
박 대표는 "민주당에서 수십 차례 강조했지만 앞으로 1~2개월 내에 쌀대란이 온다. 지금 현재도 적정재고의 배가 되는 140만톤의 쌀 재고가 있는데 우리 북한 동포들은 굶어 죽어가고 기아상태에 있다"며 "같은 동족으로 형제로서 우리의 남는 쌀을 북한에 인도적 차원에서 지원하는 것은 당연하다. 쌀 농가의 어려움도 해소하고 인도적 차원에서 세계적 존경을 받을 수 있는 대북 쌀지원이 하루 속히, 조건 없이, 자존심 상하게 하지 말고 즉각 지원하는 것이 이명박 정부가 할 일"이라며 쌀지원 재개를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