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잘듣는 MB세대들이 무슨 세대교체?"
이한구 "정두언이 무슨 쓴소리한 적 있나", "또하나의 눈속임"
이한구 "생뚱맞은 세대교체론, 또하나의 눈속임"
이한구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박근혜 전 대표의 전당대회 불출마 선언에 대해 "당의 입장에서 보면 참 아쉽다. 박 대표가 맡아준다면 청와대로부터 당이 어느 정도 독립돼서 움직일 수 있겠다 하는 믿음도 줄 수 있다"며 안타까움을 표시하면서도 "청와대나 주류 쪽에서 적극적으로 박 대표를 도와주겠다고 하는 그런 인식의 전환이 안 돼 있는 상황에서는 아마 대표 맡는 것이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는지도 모르겠다"며 화살을 청와대와 친이쪽으로 돌렸다.
이 의원은 이 대통령의 세대교체론이 박 전 대표를 겨냥한 게 아니냐는 친박의 의구심에 대해서도 "일리 있는 해석"이라며 "청와대의 세대교체 언급이 있은 뒤에 정두언 의원이나 이런 측근세력들이 출마하겠다고 나서고 하는 환경을 보면서 그 다음에 선거패배에 대한 책임의식 같은 것도 별로 안 갖고 있구나 하는 그런 생각을 갖게 만든다"고 친이계에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이어 "세대교체라고 하는 게 약간은 생뚱맞은 그런 얘기잖나"라고 반문한 뒤, "선거패배하고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얘기를 지금 하고 있기 때문에, 그리고 지금 나오는 사람이 청와대 말 잘 듣는 MB세대로 이렇게 주로 나타나면 국민들 눈에 이게 편견이나 오만, 또는 눈속임으로 인식되지 않을까, 그게 지금 걱정되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정두언이 무슨 쓴소리한 적 있나"
이 의원은 특히 정두언 의원이 전날 당대표 출마를 선언하며 자신이 평소 이명박 정부에 쓴소리를 많이 해왔다고 주장한 데 대해 "본인이 스스로 생각하는 것하고 다른 사람이 보는 시각하고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힐난한 뒤, "지금 주류 친이계가 자제해줬으면 좋겠다 라고 하는 것은 이번 선거 책임이 지방선거를 주도한 게 거기고, 또 지난 2년 간 국정운영 책임을 청와대 하고 같이 져야 되는 사람들이고, 또 앞으로 우리가 쇄신하겠다고 그러면서 지난 2년 반 동안 책임져야 될 사람이 계속 나타나면 그러면 한나라당이 쇄신하겠다고 하는 약속이 이게 진실성이 있느냐, 여기에 의심을 받게 되지 않냐"고 반문했다.
그는 이어 "특히 정두언 의원의 경우는 지금 우리가 심판 받고 있었다고 보는 4대강 문제나 세종시나 또는 미디어법이나 이런 데 대해서 정부에 대해서 쓴소리를 한 적은 없잖나"라며 "그리고 친이-친박 간에 불협화 문제가 자꾸 대두될 때마저 자주 언급이 됐던 속칭 강경파에 속하는 그런 인상을 주고 있기 때문에 아마 외부에서 자꾸 좀 신경을 쓸 것 같다"며 거듭 융단폭격을 퍼부었다.
그는 세대교체론자들이 YS정권시절이던 1995년 지방선거 참패뒤 인적쇄신을 통해 다음 총선에서 압승을 거뒀던 것을 예로 드는 데 대해서도 "그때는 세대교체라기보다는 인적쇄신이었다"며 "당시에 민정계가 대폭 정리가 됐다. 그러니까 그 이전부터 몇 십 년 간 집권하던 세력들이 많이 물러나고 대신에 민주운동 하던 사람, 또는 외부전문가들, 비정치권에 있던 사람들이 많이 당에 진입하면서 국민들로부터 새로운 평가를 받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그런데 이번에 지금 우리 한나라당 전당대회 하는 그건 그런 차원이 아니잖나. 지금 나온다는 사람들들 보면 그동안에 2년 반 동안에 청와대 말 잘 듣는 소위 MB세대, 이런 사람들이 얘기가 많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그런 것하고는 종류가 다르지 않나 하는 생각"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국가운영을 거래하는 스타일로 끌고가다니"
한편 이 의원은 전날 박재완 국정기획수석이 지자체장들이 반대하는 4대강사업 구간은 공사대상에서 뺄 수도 있다고 발언한 데 대해서도 "나는 그 얘기를 듣고 농담을 하는 줄 알았다"고 호된 쓴소리를 했다.
그는 "왜 그러냐 하면 이게 이제 국책사업이잖나. 국책사업이면 준비를 다해서 꼭 필요하다, 또 어떤 방법으로 하는 게 효율적이다, 또 앞뒤를 잘 맞춰서 추진하는 사업이라야 되는 거다"라며 "그런데 어떤 일부 사람들이 반대하면 그 지역은 빼놓고 하겠다든지 하는 식으로 국책사업이 쉽게 변경되는 그런 식의 사업추진이라면 이건 예삿일이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질타했다.
그는 더 나아가 "그런 국책사업의 경우에 지방자치단체만 의견을 제시하는 게 아니잖나. 국민 전체의 의견을 각계 전문가로부터 충분히 실수하지 않도록 받으면서 또 재정사정도 봐가면서 전반적으로 책임 있게 해야 되는 거잖나"라며 다수 국민이 4대강사업에 반대하고 있음을 지적한 뒤, "국정운영 하는데 굉장히 중요한 원칙이 중요한 사업일수록 가치지향적으로 가치기준에 의해서 판단해야지 관계되는 사람들이 이익을 갖고 자꾸 조정하려고 하는 태도는 굉장히 나쁜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이어 "세종시도 보면 세종시 사람들한테, 그 관련되는 사람들한테 '너희들 이게 더 이익이니까 경제과학도시로 가자', 예를 들어서 이런 식으로 접근하고 또 4대강도 그 지역주민들한테 '당신네들 부동산값도 올라가고 여러 가지 혜택이 있을 테니까, 나라 전체적으로는 어떻게 되든 간에 이거 좀 줄 테니까 받아봐라', 이렇게 거래하는 스타일로 자꾸 가면 국가가 이 신뢰가 어떻게 되느냐 하는 생각이 자꾸 들어간다. 이렇게 하면 권위가 없어지고 도덕적인 어떤 믿음이 가지 않는다"고 이명박 정권에 직격탄을 날렸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