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지원금은 1100억유로, 사상최대 규모
이자 5%대 고리, 그리스노조 5일 총파업 돌입
유로존(유로화 사용 16개국)과 국제통화기금(IMF)이 2일(현지시각) 재정난에 빠진 그리스에 앞으로 3년간 총 1천100억유로의 구제금융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는 구제금융 규모로 사상 최대이자 1999년 유로존 출범 이후 회원국에 대한 첫 구제금융이다.
대신 그리스는 2012년까지 재정적자를 300억유로(2009년 GDP의 11%)를 감축하는 긴축 조치들을 이행하기로 했다.
유로존 재무장관들은 이날 오후 브뤼셀에서 임시회의를 열고 그리스에 대한 지원방안을 발동하기로 했다.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IMF 총재도 내주 열릴 이사회에서 그리스 구제금융이 승인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15개 유로존 회원국은 양자 협정을 통해 연 5% 안팎의 금리 조건으로 총 800억유로를, 나머지 300억유로는 IMF가 각각 지원한다.
유로그룹 의장인 장-클로드 융커 룩셈부르크 총리는 기자회견에서 "1차분 집행이 그리스가 데드라인이 밝힌 오는 19일 이전에 제공될 것"이라고 밝혔다.
1차분 집행을 위해선 일부 국가에서 지원관련 법안에 대한 의회 승인 절차와 오는 7일 열릴 유로존 정상들의 최종 서명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 그동안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던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이날 `그리스 지원만이 유로화의 안정을 확보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하면서 오는 7일까지 그리스 지원법안의 의회 통과를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리스 정부는 자금 지원 규모가 앞으로 3년간 자금조달 수요 대부분을 충족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전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 총리 주재로 열린 그리스 각의는 구제금융의 조건으로 제시된 재정긴축 프로그램을 의결했다.
이 프로그램은 지난해 GDP의 13.6%에 달한 재정적자를 2010년 8.1%, 2011년 7.6%, 2012년 6.5%, 2013년 4.9%, 2014년 2.6% 등으로 낮추는 목표를 삼았다.
다만, 지난해 GDP의 115.1%를 기록한 정부부채는 2010년 133.3%에서 2013년 149.1%까지 오른 뒤 2014년에 144.3%로 낮추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전 계획보다 재정적자 감축 속도는 줄고 정부부채는 늘어난 것으로 `강도는 높이되 목표는 현실적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IMF의 견해가 반영된 것이다.
IMF는 지난해 -2.0%를 기록한 경제성장률이 올해와 내년 각각 -4.0%, -2.6% 등에 그치면서 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긴축 대책에는 △공공부문에 대해선 2014년까지 급여 동결, 특별보너스 폐지나 감축, 복지수당 8% 추가 삭감 △민간부문에 대해선 월 해고 상한선을 2%로 제한한 규정 개정 △부가가치세 인상(21%→23%), 유류세·주류세·담뱃세 10% 추가 인상 등이 담겼다.
또 연금수령 연령을 높이고 연금액은 삭감하는 방향의 연금제도 개혁과 에너지·대중교통 시장을 자유화하는 등의 구조적 개혁 이행도 포함됐다.
파판드레우 총리는 "국가부도를 막는 것이 `한계선'이다. 국가부도를 막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다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며 긴축 대책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그리스 노동계는 긴축 대책이 "노동자, 연금수령자, 심지어 젊은 층을 파괴하는 대책"이라며 거부 투쟁을 멈추지 않을 것임을 경고했다. 양대 노총인 공공노조연맹(ADEDY)과 노동자총연맹(GSEE)은 오는 5일 전국적인 동시 총파업에 나설 예정이다.
한편, 유로존 회원국 정부는 독일의 요청에 따라 민간 금융회사들과 자발적인 그리스 지원에 대한 논의에 나서기로 했다.
아울러 그리스에 지원되는 자금 중 약 100억유로는 경기악화에 따른 대출 부실화 위험에 대비, 그리스 은행 대상 '금융안정기금'으로 사용된다.
재정적자가 심각한 그리스 정부는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2001년 유로존 가입 이후 사상 최고인 연 11%대로 치솟고, 신용등급이 `정크본드'로 강등되는 등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에 직면하자 지난달 23일 EU, IMF 등에 구제금융을 요청했다.
출범 이후 유로존 최대 위기로 여겨져 온 그리스 재정난은 포르투갈, 스페인 등 다른 유로존 국가로 확산되는 조짐을 보이며 전 세계 금융시장에 재정적자발(發) 불안을 몰고 왔다.
대신 그리스는 2012년까지 재정적자를 300억유로(2009년 GDP의 11%)를 감축하는 긴축 조치들을 이행하기로 했다.
유로존 재무장관들은 이날 오후 브뤼셀에서 임시회의를 열고 그리스에 대한 지원방안을 발동하기로 했다.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IMF 총재도 내주 열릴 이사회에서 그리스 구제금융이 승인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15개 유로존 회원국은 양자 협정을 통해 연 5% 안팎의 금리 조건으로 총 800억유로를, 나머지 300억유로는 IMF가 각각 지원한다.
유로그룹 의장인 장-클로드 융커 룩셈부르크 총리는 기자회견에서 "1차분 집행이 그리스가 데드라인이 밝힌 오는 19일 이전에 제공될 것"이라고 밝혔다.
1차분 집행을 위해선 일부 국가에서 지원관련 법안에 대한 의회 승인 절차와 오는 7일 열릴 유로존 정상들의 최종 서명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 그동안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던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이날 `그리스 지원만이 유로화의 안정을 확보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하면서 오는 7일까지 그리스 지원법안의 의회 통과를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리스 정부는 자금 지원 규모가 앞으로 3년간 자금조달 수요 대부분을 충족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전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 총리 주재로 열린 그리스 각의는 구제금융의 조건으로 제시된 재정긴축 프로그램을 의결했다.
이 프로그램은 지난해 GDP의 13.6%에 달한 재정적자를 2010년 8.1%, 2011년 7.6%, 2012년 6.5%, 2013년 4.9%, 2014년 2.6% 등으로 낮추는 목표를 삼았다.
다만, 지난해 GDP의 115.1%를 기록한 정부부채는 2010년 133.3%에서 2013년 149.1%까지 오른 뒤 2014년에 144.3%로 낮추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전 계획보다 재정적자 감축 속도는 줄고 정부부채는 늘어난 것으로 `강도는 높이되 목표는 현실적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IMF의 견해가 반영된 것이다.
IMF는 지난해 -2.0%를 기록한 경제성장률이 올해와 내년 각각 -4.0%, -2.6% 등에 그치면서 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긴축 대책에는 △공공부문에 대해선 2014년까지 급여 동결, 특별보너스 폐지나 감축, 복지수당 8% 추가 삭감 △민간부문에 대해선 월 해고 상한선을 2%로 제한한 규정 개정 △부가가치세 인상(21%→23%), 유류세·주류세·담뱃세 10% 추가 인상 등이 담겼다.
또 연금수령 연령을 높이고 연금액은 삭감하는 방향의 연금제도 개혁과 에너지·대중교통 시장을 자유화하는 등의 구조적 개혁 이행도 포함됐다.
파판드레우 총리는 "국가부도를 막는 것이 `한계선'이다. 국가부도를 막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다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며 긴축 대책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그리스 노동계는 긴축 대책이 "노동자, 연금수령자, 심지어 젊은 층을 파괴하는 대책"이라며 거부 투쟁을 멈추지 않을 것임을 경고했다. 양대 노총인 공공노조연맹(ADEDY)과 노동자총연맹(GSEE)은 오는 5일 전국적인 동시 총파업에 나설 예정이다.
한편, 유로존 회원국 정부는 독일의 요청에 따라 민간 금융회사들과 자발적인 그리스 지원에 대한 논의에 나서기로 했다.
아울러 그리스에 지원되는 자금 중 약 100억유로는 경기악화에 따른 대출 부실화 위험에 대비, 그리스 은행 대상 '금융안정기금'으로 사용된다.
재정적자가 심각한 그리스 정부는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2001년 유로존 가입 이후 사상 최고인 연 11%대로 치솟고, 신용등급이 `정크본드'로 강등되는 등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에 직면하자 지난달 23일 EU, IMF 등에 구제금융을 요청했다.
출범 이후 유로존 최대 위기로 여겨져 온 그리스 재정난은 포르투갈, 스페인 등 다른 유로존 국가로 확산되는 조짐을 보이며 전 세계 금융시장에 재정적자발(發) 불안을 몰고 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