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6일 통관이 금지된 애플사의 '아이패드'(전자책 단말기)를 이용해 언론 브리핑을 했다가 네티즌들로부터 "불법 아니냐"는 눈총을 받았다.
현재 관세청과 방송통신위원회는 애플사가 지난달초 미국에서 시판을 시작한 아이패드가 전파법에 따른 등록절차를 이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국내반입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박용만 두산 회장 등 일부 유명 CEO와 얼리어답터들은 구매대행 또는 해외에 거주하는 지인 등을 통해 변칙적으로 아이패드를 구매한 뒤 국내로 반입해 사용해, 또하나의 차별 논란을 낳고 있다.
이런 마당에 유 장관은 이날 오전 문화부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앞으로 5년 내에 전자책 시장을 2배로 성장시키기 위해 오는 2014년까지 6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라며 아이패드를 활용해 브리핑을 했다.
그는 "변화할 수밖에 없는 추세에 적응을 하지 못하면 실기(失機)를 할 우려가 있다"며 "종이로 안 하고 이렇게 하니까 괜찮다"고 아이패드를 예찬했다. 그는 기자들에게 "이왕이면 오늘 이런 걸 하나씩 좀 드리면서 발표를 해야 될 텐데"라고 말하기도 했다.
네티즌들은 즉각 블로그, 트위터 등을 통해 '불법'이라는 지적과 함께 "신고하자"고 주장하기까지 했다.
김현 민주당 부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이명박 한나라당 정권이 법위에 군림하는 무소불위의 정권이라는 것은 국민들이 다 아는 사실이지만 불법행위인지 아닌지도 모르고 그저 전시행정에만 몰두하는 모습이 참으로 꼴불견"이라며 "더구나 유장관은 '이걸로 하니까 편하고 좋다'며 제품에 대한 홍보까지 했다고 하니 실소를 금할 길이 없다"고 혀를 찼다.
논란이 일자 문화부는 즉각 해명자료를 내고 "유 장관은 발표의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인쇄된 자료와 함께 전자책 단말기 중 화면이 넓은 아이패드를 활용하였다"며 "동 아이패드는 ‘북센’에서 보유하고 있는 것을 우리부에서 임시 활용한 것이며 ‘북센’에서는 연구목적을 위해 반입한 것으로 알려왔다"고 진화에 부심했다.
앞으로 대통령들, 탤런트를 장관시키지 말자. 지켜보기도 아슬아슬하네. 대중문화만 문화라고 쳐도 그렇지, 대사 외우기나 하면서 평생을 보내던 사람들을 장관을 시켜서 뭘 어쩌잔 거야? 사람들의 영혼이 대체로 성숙한 그런 부문도 많잖아? 나하고 일대일로 말해도 말 상대도 안될 것 같은 사람을 장관을 시켜놓고서 뭘 어쩌자는 거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