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미국소비 감소세 전환, 뉴욕주가 폭락

'재정 효과' 끝나면서 미국경기 재침체 양상

전날 3분기 'GDP 서프라이즈'예 200포인트 가까이 급등했던 미국 다우지수가 30일(현지시간)에는 지난달 소비 감소 소식에 250포인트 가까이 급락, 미국 증시가 널뛰기를 하면서 본격적 조정장에 진입한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249.85포인트(2.51%)나 떨어진 9,712.73으로 마감했다. 이는 지난 4월이후 최대 낙폭이다. S&P 500 지수도 29.93포인트(2.81%) 내린 1,036.18로 거래를 마쳤고 나스닥 종합지수 역시 2,045.11로 전날보다 52.44포인트(2.50%) 떨어졌다.

주가가 급락하면서 공포지수로 불리는 VIX지수는 31에 달해 25%나 급등하면서 4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다.

이날 주가 급락 주범은 지난달 미국의 소비지출이 감소세로 돌아섰다는 소식이었다. 미 상무부는 이날 미국의 9월 소비지출이 전달보다 0.5% 줄어들어 5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고 발표했다. 10월 로이터/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지수 역시 70.6으로, 전달의 73.5보다 떨어졌다.

신차 구입시 지원되던 정부 보조가 끊기면서 자동차 소비가 반토막난 게 결정적 작용을 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11월에 주택구입시 지원되던 정부 보조마저 끊길 경우 미국경제가 재차 침체의 늪에 빠지는 더블 딥 위기가 현실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5 개 있습니다.

  • 0 0
    111

    새로운 자본유입이 미국으로 미국으로 되고있는가........
    경기부양이 왜 나오는가... 새로운 자본유입이 미국으로 미국으로 없다는것을 말하고 있다.
    협박하고 약탈 하고 침략하여 공포조성으로 자본유입을 해야 하는데 너도나도 미국에게서 등을 돌리고 있다

  • 1 0
    111

    미 연방예금보험공사는 하루에 9개 은행을 폐쇄하는 것은 작년 금융위기 여파로 은행들을 관리하면서 처음 있는일이라고.
    이들 9개 은행의 파산으로, 올들어 미국서 모두 115개의 은행들이 폐쇄

  • 4 0
    간단

    알래스카를 팔어

  • 5 0
    asdf

    전날의 GDP 3.5% 는 자동차 보조금에 의한 비정상적인 증가분이 반영된 것으로 시장이 너무 광분했던 것이다.예측치가 3.2% 였는데 이보다 0.3% 더 나왔다고 해서 그 정도로 광분한다는 것은 시장이 이미 이성을 잃고 있다는 증거다.

  • 3 0
    111

    극심한 재정난으로 파산 위기에 몰린 CIT가 결국 파산보호 카드를 꺼내들었다.
    미국내 중소기업 대출전문은행이 파산한다고 하니
    얼마나 미 경제가 좋지 않는것을 확인하는것이다

↑ 맨위로가기